'청년인턴 10만명 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다. 13일 노동부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공공기관 금융회사 민간기업 등이 지금까지 채용했거나 조만간 채용할 예정인 청년인턴은 9만여명에 달한다.

이는 지난 한 해 동안 채용됐던 인턴 3만3000명(노동부의 인턴 보조금 지급 기준)의 3배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정부는 현재 1만1000명 수준인 행정인턴을 조만간 1만7000명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다. 아울러 추가경정예산 편성 때 청년인턴 지원금을 늘려 공기업과 민간기업이 청년인턴을 채용하도록 독려할 예정이다.

이를 감안하면 청년인턴은 조만간 1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이는 작년 대학을 졸업한 학생(50만여명)의 20%에 달한다.

물론 청년인턴은 실업문제를 일시적이나마 해결해 보겠다는 궁여지책의 성격이 강하다. 단기간 내 청년인턴이 급증하면서 곳곳에서 부작용도 빚어지고 있다.

준비가 부족하다 보니 복사 등 허드렛일을 배당하는 게 단적인 예다. 인턴이라기보다 단기 아르바이트생이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최근 정부가 민간기업에까지 인턴채용을 늘리라고 주문해 반발도 사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부작용을 해소하고 청년인턴제의 도입 취지를 살리자면 인턴십 내용을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황선길 잡코리아 컨설팅사업본부장은 "인턴제를 제대로 운영하면 신입사원 채용과 교육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만큼 이를 가욋일로 생각하면 곤란하다"며 "인턴십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