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고용대란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이 같은 글로벌 경제위기의 한파를 이겨내는 방법으로는 환경기술과 환경정책을 주축으로 한 '그린 잡 · 그린 뉴딜'이 대안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독일 도이체방크는 지난해 말 '2009년 기후변화 투자백서'를 발간하면서 "각국 정부는 앞으로 2~3년간 경기부양에 나서지 않을 수 없는데 이는 동시에 녹색인프라에 투자할 역사적 기회가 된다"고 지적했다. 세계 환경시장 규모는 급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다국적 컨설팅 업체인 AT커니는 2005년 710조원 규모였던 세계환경시장이 2015년엔 1100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탄소세나 배출권 거래와 같은 적절한 경제적 유인수단과 배출허용 기준 등 직접규제를 활용해 기업의 녹색기술에 대한 투자와 녹색 혁신을 유도할 방침이다. 국내에서 그린 뉴딜이 본격 시행될 경우 △노후 수도관 교체 △친수 · 녹지공간 조성 등 생활환경 개선사업은 불황기 일자리를 창출하면서도 국민의 삶의 질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저탄소,녹색성장,녹색일자리,생활공감 등 4개 분야 49개 실천과제를 마련해 정책을 추진 중이다. 정부는 앞으로 폐자원 · 바이오 매스 에너지 보급률을 2006년 1.82% 수준에서 2012년 3.3% 수준으로 높이고 그린 카 4대 강국으로 진입한다는 목표다.

환경플랜트 해외 수출액도 2007년 1조3000억원 규모에서 2012년 8조원 규모로 키우고 탄소시장도 현재 1400억원 수준에서 2012년까지 1조원대를 넘긴다는 복안이다. 이 같은 정책이 차질없이 시행될 경우 주변 생활환경 개선도 빠르게 진행돼 생태하천 비율은 2006년 55% 수준에서 2012년 62% 수준까지 높아진다.

각국 정부는 녹색일자리 창출에 잇따라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민간부문에서 친환경 · 청정에너지,재생에너지 등 녹색 성장산업과 관련된 창업과 그린 뉴딜에 대규모로 투자하는 기회를 살리려는 노력이 일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대규모 선(先)투자가 필요한 녹색 일자리의 특성상 정부가 선도적으로 그린 뉴딜사업을 시행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우선 2014년까지 급수체계를 조정하고 낡은 수도관을 정비하는데 5조8000억원을 투자,8억t의 누수를 방지하고 수돗물 수질을 개선하는 한편 3만5000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낼 계획이다. 이와 함께 2016년까지 하수 처리수를 공업용수로 재이용하는데 1조4000억원을 투자해 보령댐 4개를 대체하는 규모인 연간 4억4000만t의 물을 재이용하고 3000개의 일자리를 2012년까지 창출할 계획이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