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 인하 속도가 숨가쁘다.벤 버냉키 FRB 의장은 '헬리콥터 벤'이란 그의 별명대로 돈을 뿌려서라도 경기 침체를 막자고 작심한 듯하다.

일부에서는 급속한 금리 인하는 나중에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며 신중론을 내세우고 있다.

FRB는 30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했다.지난 22일 0.75%포인트 인하한 지 8일 만이다.이로써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위기가 불거진 작년 9월 이후부터는 다섯차례에 걸쳐 2.25%포인트 내렸다.

말그대로 초고속 금리 인하 행진이다.이처럼 FRB가 작심하고 금리를 내리고 있는 것은 경기 상황이 그만큼 심각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FRB는 작년 12월 금리를 내릴 때만 해도 "금리 인하가 완만한 경제성장을 증진시킬 것"이라며 사뭇 자신있는 태도를 보였다.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은 악화됐다.

FRB도 급기야 지난 22일 0.75%포인트의 기준금리를 내리면서 "상당한 경기 하강 위험이 남아 있다"고 밝히기에 이르렀다.이런 기조는 30일에도 계속됐다.

"경기 하강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다"고 밝혀 추가 금리 인하를 시사했다.다만 "금리 인하 조치가 완만한 성장을 증진시킬 것"이란 문구를 다시 삽입함으로써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할 계획임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관심은 FRB가 과연 기준금리를 얼마까지 떨어뜨릴 것인지에 쏠리고 있다.

상당수 전문가들은 오는 3,4,6월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각각 0.25%포인트의 금리를 인하해 연 2.25%까지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훨씬 낮은 0.6%(연율 환산 기준)에 그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경기 침체 조짐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어서다.

지난해 12월 소비자 지출도 15개월만에 최저 수준인 0.2% 증가에 그쳤다.한번 금리를 동결한다고 해도 연 2.5%까지는 인하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리먼브러더스는 올 기준금리 전망치를 종전 연 2.5%에서 2.0%로 하향 조정했다.골드만삭스도 3월 중 추가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렇지만 초고속 금리 인하에 대해 우려의 시각도 나오고 있다.당장은 금리 인하가 경기 침체를 막지 못할 것이란 비관론이 상당하다.

토마스 리 JP모건 애널리스트는 "작년 4분기 성장률은 경기침체기였던 2002년 이후 최저"라며 "미국 경제는 심각한 국면에 직면했다"며 지적했다.

무조건적인 금리 인하가 경기 침체를 막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얘기다.더욱이 금리 인하는 달러화 약세를 야기한다.자칫하면 성장은 침체된 상태에서 물가만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기준금리가 인플레이션율 아래로 떨어질 경우 무조건적인 소비를 촉진해 자산거품을 야기할 공산이 크다.로버트 실러 예일대 교수는 "금리가 인플레이션을 밑도는 '네거티브(negative) 금리시대'가 올 경우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고 지적했다.

작년 4분기 근원 개인소비지출(PCE)물가상승률은 2.7%에 달했다.연간으론 2.1%다.자칫하면 금리가 물가상승률 밑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이런 우려를 모를 리 없는 버냉키 의장으로선 경기 침체란 적을 맞아 나름대로 모험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경우 그가 연임할 확률은 50%가 안 될 것이란 전망(뉴욕타임스)이 나오고 있는 것을 보면 모험이 성공할 것으로 속단하기는 이른 것 같다.

뉴욕=하영춘 특파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