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3일 512메가 D램 제품의 현물가격은 전날에 비해 3% 상승했다.

일주일이 지난 이달 1일에는 전날 대비 5%나 상승하는 탄력을 보였다.

반도체 시황이 본격 상승세를 탈 것이라는 기대심리가 작용한 덕분이었다.

하지만 그것으로 끝이었다.

지난 주말에 결정된 고정거래가격은 꿈쩍도 하지 않았다.

오히려 3∼5% 하락했다.

현물가격도 소폭이나마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업계는 세계 1위의 D램 업체인 삼성전자가 가격을 끌어올리기 위해 지난달부터 출하물량을 의도적으로 줄여왔는데도 이 같은 양상이 나타나자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이달부터 부분적으로 주문이 들어오고 있는 신학기 수요 물량도 가격하락을 저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문제는 가격 저점을 점치는 기준시점이 계속 미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연초까지만 해도 '3월,4월 바닥설'을 제기해 왔던 업계는 4월 들어서도 반도체 가격이 계속 떨어지자 '5월 바닥설'을 내놓더니 최근에는 '6월 바닥설'로 전망을 계속 수정하고 있다.

그나마 D램 업체들이 현물시장에서 덤핑 판매를 자제하면서 가격하락 속도를 최대한 늦춘 게 유일한 위안이다.

이 때문에 하반기 들어 반도체 경기가 회복된다고 하더라도 상승폭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주요 업체들이 상당한 양의 D램 재고를 갖고 있는 상황에서 가격이 반등하면 한꺼번에 물량을 쏟아낼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반도체시장의 공급 과잉을 눈여겨보고 있는 수요업체들이 좀처럼 가격인상 요구에 응하지 않고 있는 점도 걸림돌이다.

반도체업계는 경우에 따라 계절적 성수기인 3분기를 제대로 즐기지도 못하고 올해를 결산할 수도 있다는 우려에 초조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조일훈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