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잠재적 위협자로 지목돼 온 아르셀로-미탈이 본격 탐색전에 나섬에 따라 포스코에 대한 외국 기업의 적대적 인수·합병(M&A) 위협이 현실로 다가온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달 초 포스코를 방문했던 아르셀로-미탈의 로랜드 융크 경영위원이 포스코의 M&A 전략에 큰 관심을 보인 것은 이미 전초전이 시작됐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에 따라 포스코의 대응 전략이 또다시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미탈측 벌써부터 신경전

포스코 고위 관계자는 "당시 만나자고 먼저 요청한 쪽은 미탈 측"이라며 저간의 상황을 소개했다.

미탈 측은 "포스코가 앞으로 아시아에서 어떤 철강업체를 M&A하려 하느냐,의도가 뭐냐"는 질문을 던졌고 이에 포스코는 "아시아 철강업체는 인수 못한다.

유럽이나 미국과 달리 아시아권은 문화와 정서가 달라 M&A가 힘들다"고 설명했다.

아르셀로-미탈이 향후 포스코에 대한 적대적 M&A 저의를 드러낸 것으로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포스코가 M&A를 통해 덩치를 키울 경우 자신들의 M&A 시도가 그만큼 힘들어지기 때문에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본 것이라는 분석이다.

미탈 측의 속내를 읽은 포스코 측이 '아시아권 기업의 M&A 불가론'으로 응수함으로써 이날 회동은 초반 신경전 양상으로 전개됐다.

이번엔 포스코가 미탈 측에 "포스코를 먹어도 소화할 수 있겠느냐"면서 반응을 떠봤다.

아르셀로를 인수할 때 고생을 많이 해서 (포스코를) 적대적 M&A할 의사가 없다는 답이 돌아왔다.

미탈 측은 그러면서 포스코가 건설을 추진 중인 인도제철소에 자기네들이 협력할 수 없겠느냐고 역으로 제의해 왔다.

포스코 고위 관계자는 "미탈의 제의가 무슨 속셈인지 모르겠다.

포스코를 두고 미탈 측의 탐색전이 시작된 것으로 본다"고 방점을 찍었다.

미탈이 공언한 대로 아시아에서 M&A를 하려면 일본의 JFE나 한국의 포스코뿐이기 때문이다.

신일본제철은 최근 일본의 우호적 철강업체들과 연대해 탄탄한 방어막을 구축,사실상 M&A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다각적인 대응책 모색

포스코는 비상이 걸렸다.

'경보' 수준에 머물렀던 적대적 M&A 위협이 가시화됐다고 판단,국내외적으로 다각도의 추가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 2일 신일본제철이 포스코 주식을 더 매입한 데 힘입어 우호 지분이 모두 41%에 달하나 100% 안심할 수 있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해서다.

이런 우호 지분으로는 주주총회에서 (적대 세력의) 이사 선임이나 정관 변경 시도 정도만 막을 수 있다는 얘기다.

포스코 고위 관계자는 "언제 뒤통수를 맞을지 모른다"고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올 연말까지 우호 지분을 50%로 끌어올리기로 하는 총력전에 돌입했다"면서 "포스코 주식을 2% 보유하고 있는 국내 한 기관투자가에 주식을 더 사라고 요청했다"고 절박한 심정을 털어놨다.

포스코는 정부 쪽에도 인계철선 고리를 걸어둘 계획이다.

산업자원부와 청와대에는 이미 급박하게 돌아가는 사정을 설명했다.

포스코와 같은 기간 산업이 적대적 M&A를 당하지 않도록 정부가 제도적인 방어 장치를 허용해 주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

그나마 이날 한나라당 이병석 의원이 '한국판 엑슨-플로리오법' 입법안을 국회에 발의,향후 통과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포스코는 삼성전자 등 국내 굴지 업체와 상호 지분 매입 등의 전략적 안전 장치를 마련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 부인하지 않았다.

이 관계자는 "그런 거 저런 거 다 더듬고 있다"면서 "다만 그쪽은 그쪽의 주주들을,우리는 우리 쪽 주주들을 설득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했다.

포스코는 아르셀로-미탈이 아시아에서 M&A를 이용한 통합(Consolidation)으로 나올 경우 중국 일본 철강업체들과의 연대(Collaboration)를 통해 대응한다는 '3각 동맹'을 추진하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다.

김홍열/이상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