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發) 주식시장 요동과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청산 등 국제 금융환경 변화는 국내 실물경제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최근 3년간 한국 원화 가치는 일본 엔화 대비 30% 절상됐다.

50개 수출 주력 품목 중 26개가 일본 제품과 경합 중인데 수출 경쟁력 약화가 어느 정도 개선될 전망이다.

올해 성장률은 4%대 중반,수출도 3600억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등 거시경제 여건도 나쁘지는 않은 편이다.

문제는 성장 잠재력이다.

설비투자 증가율이 과거보다 둔화하고 있다.

외국인의 한국 직접투자(FDI)는 정체 상태인 반면,국내 기업의 해외 투자는 증가일로다.

2006년에는 국내 기업의 해외 투자가 외국인의 한국 투자보다 많아졌는데 추세로 굳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현상들을 무조건 나쁘다고 볼 수만은 없지만 우려의 목소리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투자를 늘리기 위해 기업 환경 개선 차원의 규제 완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부품·소재산업의 도약 기반을 마련하고 지식서비스산업 육성을 본격 추진할 것이다.

부품·소재와 관련해서는 핵심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글로벌 중핵기업을 만들어낼 것이다.

반도체와 휴대폰의 부품 국산화율이 40~60% 수준에 그쳐 수출이 늘어도 국내 경제 부가가치 유발 효과는 제한적이다.

차세대 및 차차세대의 핵심 부품·소재를 미리 개발해 성장동력으로 삼을 예정이다.

지식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는 업계와 지속적으로 대화할 것이며 전문화와 대형화를 도울 것이다.

상생 협력은 대기업이 일방적으로 양보하도록 정부가 강제하거나 법률로 정할 생각이 전혀 없다.

대기업에도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상생 협력이다.

세계시장에서 기업 경쟁은 기업 간 경쟁이 아니라 기업 생태계 간 경쟁 구도다.

협력업체의 경쟁력이 뛰어나야 완제품 대기업의 경쟁력도 높아지는 것이다.

수도권과 지방은 윈·윈하는 구조로 가야 한다.

수도권에 있는 정부나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옮겨 가고 고급 인력이 필요한 첨단산업은 수도권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은 균형발전 추진 중간 단계여서 논란이 큰 것이다.

영세 자영업자 문제는 100% 시장경제로만 풀기는 어려운 사안이다.

사회적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