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이 '글로벌 두산'의 기치를 내세우고 박용성 회장을 총사령탑으로 내세웠다.두산은 외환위기 직전부터 구조조정에 나서 가장 성공적인 구조조정 기업이라는 평가를 들어온 터.사업구조 자체가 일반 소비재 중심에서 중공업 중심으로 완전히 바뀐 만큼 국제적 인맥과 신망을 구축하고 있는 박 회장을 회장으로 내세워 '또 다른 두산의 100년사'를 써나가겠다는 각오인 셈이다.글로벌 두산의 중심축은 두산중공업두산인프라코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장수기업'의 대변신 두산은 국내 기업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고 박승직 회장이 1896년 창업한 이래 109년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1973년까지 박두병 초대 회장이 경영체제를 확립한 이후 그의 장자인 박용곤 명예회장이 그룹의 기반을 다졌다. 1996년 12월부터는 차남인 박용오 회장이 과감한 구조조정을 진두지휘해오면서 그룹의 체질을 내수기업에서 중공업기업으로 바꿔왔다. 소비재인 OB맥주를 매각하고 옛 한국중공업(현 두산중공업),고려산업개발(현 두산산업개발),대우종합기계(현 두산인프라코어)를 잇따라 인수했다. 두산은 이제 3남인 박용성 회장에게 그룹의 지휘권을 넘기면서 이런 사업구조를 보다 글로벌화한다는 구상이다. 두산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 회장을 맡아오면서 보여준 그의 경영능력을 바탕 삼아 내수 위주였던 100년 기업역사를 중공업 중심의 새로운 100년 역사로 재작성하는 작업을 맡긴 셈이다. ◆중공업·인프라코어가 주축 두산은 올해 초 대우종합기계를 인수함에 따라 계열사가 19개로 늘어나면서 매출액 11조원,자산규모 12조원을 갖춘 재계 10위 그룹으로 성장했다. 두산은 지금 수준에서 만족하지 않고 오는 2015년 까지 매출 100조원의 그룹으로 성장한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두산은 특히 박용성 회장이 담당해왔던 두산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를 중심으로 성장의 틀을 짜고 있다. 두 기업은 급성장하고 있는 중동시장과 중국시장 등에서 튼튼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다른 어떤 계열사보다 크다. 실제 두산중공업은 해수 담수화 플랜트시장에서 세계 1위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 역시 중국 굴삭기 시장 등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박 회장은 지난 상반기에 두산인프라코어 중국법인 등을 직접 둘러보면서 그 가능성을 확인했다. 두산은 인프라코어를 2015년까지 '글로벌 톱5'로 키운다는 구상이다. ◆4세 경영도 본격화 두산은 이날 박용곤 명예회장의 장남인 박정원 ㈜두산 상사BG 사장을 두산산업개발 부회장으로 승진시켜 '4세 경영 시대'도 함께 열었다. 박 부회장은 국내 기업 처음으로 창업주의 4세가 최고경영자로 올라서는 기록을 갖게 됐다. 그는 지난 2001년 앞날이 불투명했던 상사BG를 맡아 비수익 사업을 과감히 정리하는 한편 사업 포트폴리오를 수익사업 위주로 재구축,㈜두산의 턴어라운드를 주도해 왔다. 또 산소주를 일본시장에서 1위 제품으로 성장시키는 등 남다른 사업수완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홍열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