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29일 노무현 대통령에 건의한 '창조적 인재강국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육성전략'은 대학 운영 혁신,대학 연구역량 제고,산학연계 촉진 등 3개의 틀로 짜여져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산업체와 대학간 협력에 무게가 실려있다. 대학이 기업형으로 패러다임을 바꾸고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반영된 것이다. ◆배경=우리나라 대학은 외형적으로는 크게 성장했으나 질적 경쟁력은 아직도 크게 떨어진다는 평가다. 지난 2003년 SCI 등재 논문으로 볼 때 숫자로는 세계 14위지만 평균 피인용도는 0.22로 34위에 머물렀다는 것이 이를 증명해준다. 이는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 육성을 위한 지원 관리체제가 제대로 구축되지 못한 데도 원인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산업체 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특성화된 교육체계가 마련돼 있지 않아 기업의 기술수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수요에 부합하는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산업계에서 재교육으로 투자하는 비용이 연간 2조8천억원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 직무에 곧바로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을 선호하고 그 결과 청년 실업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기업가형 대학으로 변해야=이번 보고서는 대학이 스스로 교육과 연구를 통해 혁신 및 경제 활동을 추구하는 기업가적 대학으로 변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대학에서 탄생하는 스핀오프 기업의 창업지원,기술이전 전담부서 설치 등이 기업가적 대학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 설립도 이같은 맥락에서 나온 것이다.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는 일종의 대학 벤처캐피털 개념으로 스핀오프하는 벤처기업 등에 지분투자를 할 수 있다. 또한 학교기업의 기술을 자본금 형식으로 출자토록 하고 기술출자에 따른 지분은 산학협력단이 소유토록 한다는 게 자문회의의 구상이다. 대학이 직접 운영하는 연구개발 전문법인도 대학 기업화 촉진 방안으로 주목된다. 이같은 모델로는 미국에서는 연구개발 전문기업이 활성화돼 있으며 일본에는 한시적 산학연구 공동체인 연구개발 촉진법인이 있다. 이에 비해 한국형 연구개발 전문기업은 산업체 기술개발 기능을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전문기업의 전단계로 볼 수 있다. 기업수요에 맞도록 정부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혁신형 중소기업 인력양성 프로그램 추진,산학연계 장학제도 도입 등도 산업지원 기능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대된다. ◆기대 효과=자문회의는 이같은 대학의 산업지원기능 강화를 통해 현재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경제사회요구 부합도 순위를 59위에서 2010년까지 10위로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또한 이공계 인력의 수요 창출을 유도,2010년까지 과학기술분야 일자리 비중을 25% 이상 늘린다는 목표다. 이번 전략을 통해 대학이 산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을 공급하고 국가경쟁력 제고에 한몫을 하게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기대하고 있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