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 인상은 2년여 동안 지속된 '지구촌 초저금리' 시대의 마감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또한 지난 4년여간 경기 부양에 맞춰졌던 미국 금융정책의 초점이 '인플레 차단'으로 옮겨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 인상은 궁극적으로 미 경제가 소비 제조 고용등에서 균형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했다는 분석을 바탕에 깔고 있다.



초저금리와 경기 회복으로 인플레 압력이 가중돼 경제의 장기 안정 성장을 위협하는 사태를 미리 차단하자는 것이다.


미국의 지난 5월 소비자물가는 전달 대비 0.6% 급등하며 올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연율 기준 소비자물가도 5월까지 5.1% 급등, 지난해 같은 기간의 1.9%를 훌쩍 넘어섰다.


미 경제 회복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일자리가 지난 3개월 동안 1백만개 정도 늘어나며 '일자리 있는 성장' 궤도에 진입한 것도 금리 상승을 가능케 한 요인이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경기 회복 강도, 물가 상승, 상대적으로 여전히 낮은 금리 수준 등을 감안할 때 미국 금리는 앞으로 본격적으로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앨런 그린스펀 FRB 의장 재임시 통계를 인용, 금리가 4%에 달할 때까지 계속 인상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통신은 지난 17년 동안 FRB가 금리 인상 기조로 돌아선 후 평균 2.67%포인트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4%에 달하는 시점은 내년 말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JP모건 이코노미스트인 짐 글래스만은 "금리 인상 국면이 1년6개월 정도 진행되면서 (금리가 경제를 자극하지도, 위축시키지도 않는) 중립적 수준인 3.5∼4.0%로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동열 기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