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산업설비는 생산능력이 떨어지는데다 노후화돼 있어 그 가치가 한국의 0.4%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따라서 갑작스런 남북통일로 인해 북한산업이 붕괴되면 남한이 적지 않은 부담을 져야 하는 만큼 북한의 생산능력을 높이는 등 경제협력이 이뤄져야 한다는 견해도 제시됐다. 21일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이 내놓은 `북한의 산업현황과 남북한 경제의 보완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현재 북한 산업설비의 전체 가치를 원화로 환산하면 19조원이지만 내용연수(고정자산의 이용가능 연수)를 감안하면 7조8천억원으로남한 산업설비 가치인 564조3천억원의 1.4%에 불과했다. 또 북한 산업설비 가치는 노후화를 반영하면 2조2천억원으로 한국 산업설비의 0.4% 수준으로 계산됐다. 설비 노후화를 감안한 북한의 분야별 가치는 철강 1조2천239억원, 전력 5천558억원, 기초화학 928억원, 아연 770억원, 시멘트 750억원, 공작기계 439억원, 자동차432억원 등이었다. 또 북한의 기술력은 자동차.정유.전력.석유화학.조선.섬유.제지 등에서 남한에비해 30년이 뒤졌고 시멘트는 25년, 철강.기계는 20년, 비철금속은 10년이 각각 낙후됐다. 아울러 북한은 중화학공업 우선정책에도 불구하고 공작기계.자동차.조선 등 주요 산업분야의 생산능력이 남한의 10% 미만에 불과하고 생산실적도 생산능력의 10∼30%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 무역특화지수(TSI)를 통해 북한의 대외 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동물성 생산품,목재, 귀금속 등에서는 우수하지만 전통적인 수출상품이었던 방직용 섬유 등에서도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다. 금융경제연구원은 이런 상태에서 남북통일이 갑작스럽게 진행될 경우 북한 산업은 급속히 붕괴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생산능력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 북한의 화학비료, 시멘트, 직물, 철강 생산설비를 정비하고 가동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경쟁력은 있으나 노후화로 인해 정상화되지 못하고 있는 설비를 개보수함으로써 중저가 위주의 제품이 북한내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철재 금융경제연구원 연구원은 "개성공단외에 평양과 신의주, 나진 등을 개발해 남북 경제협력의 지역적 범위를 넓혀나갈 필요도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금융경제연구원은 북한에 대한 남한의 투자는 인건비, 임차료 비중이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투자 대상 분야로는 봉제.의복.모피, 장신구.잡화, 인쇄, 고무제품, 구조용 금속제품, 가공 공작기계, 선박.보트 건조업, 도자기.요업 등이 제시됐다. (서울=연합뉴스) 윤근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