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사이 하층민들의 경제적 신분을 상승시켜줄 수 있는 중간층 일자리가 답보상태를 보인 데 반해 고소득 일자리는 크게 늘어나 계층 간 소득 양극화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한국노동연구원(원장 이원덕)에 따르면 임금 근로자와 고용주, 자영업자,시급근로자, 무급가족 근로자 등 전체 취업자(농업과 공공부문 제외) 중 작년 말 현재 연간 소득이 1천600만원 이상인 상위등급 일자리는 682만개로 지난 93년 481만7천개에 비해 41.6% 증가했다. 연간 소득이 2천350만원 이상인 일자리는 156만9천개에서 224만3천개로 42.9%늘어났다. 반면 매년 1천100만원 이하를 벌어들이는 하위등급 직업은 508만9천개에서 627만7천개로 23.3% 증가했다. 중간등급인 연간 소득 1천101만∼1천599만원 수준의 일자리는 646만5천개로 93년(609만9천개)보다 불과 6.0%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체 일자리는 1천610만5천개에서 1천956만1천개로 21.5% 증가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제시한 노동자들의 계층별 소득은 기본급과 상여금을 기준으로 산정됐고, 자영업자의 경우 국세청 신고 수입을 근거로 계산됐기 때문에 실제 수입에 비해 크게 낮은 게 특징이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시간당 소득 6천151원 이상과 6천150∼4천167원, 4천166원 이하를 각각 상위와 중간, 하위 등급 일자리 구분 기준으로 삼았고, 자영업자는 소득이 누락된 데다 근로자 임금에는 성과급과 각종 수당 등이 포함돼 있지 않아 등급분류 소득기준이 실제보다 낮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한 정규직 임금근로자는 작년 말 629만6천명으로 93년의 642만6천명에 비해 2.0% 감소한 반면 비정규직 임금 근로자는 477만1천명에서 719만명으로 50.7%나 급증했다. 아울러 국제통화기금(IMF) 체제로 편입된 이후 상대적으로 중산층 수준의 삶을보장하는 대기업과 금융업, 공기업의 일자리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 300명 이상 대기업 일자리의 경우 작년 말 162만4천개로 외환위기 발생당시인 97년 180만9천개보다 10.2% 줄었고 금융업의 일자리도 78만8천개에서 72만6천개로 7.87% 감소했다. 공기업 부문과 30대 대기업 집단의 일자리도 외환위기 당시에 비해 각각 19.2%와 25.1% 줄었다. 전병유 연구위원은 "상위와 하위 수준 일자리만 크게 늘고 중간 수준의 증가율이 둔화된 것은 저소득층이 더 좋은 일자리로 상향 이동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소득의 양극화는 단순히 빈곤계층을 양산한다는 측면에 그치지 않고소득 계층 간 다른 형태의 차별을 야기할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영세민들에게 제공하는 일자리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chunj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