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이전 비용이 국가부담 11조2천억원 등 총 45조6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또 새 행정수도는 인구 50만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2천300만평 규모로 조성하되 신도시형이 적절하고 중앙부처와 일부 소속기관 뿐 아니라 입법.사법부도 옮기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수도 이전이 마무리되면 2030년까지 수도권 인구는 51만3천명, 공공기관 지방분산이 동시 진행되면 170만명 줄어들고 서울의 토지.주택가격도 1.6-2.4%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신행정수도연구단은 그동안 공청회 등을 통해 마련한 신행정수도 기본구상과 입지선정기준 시안을 확정, 6일 오후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관계 장관, 충청권 광역자치단체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보고회를 가졌다. 연구단에 따르면 신행정수도 건설비는 2030년까지 국회.정부청사.시청 등 공공건물 건축과 고속도로 등 광역교통시설 건설을 위해 정부재정 11조2천억원, 주택 및 상업.업무시설 건축 등을 위해 민간부담 34조4천억원 등 45조6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국가부담은 지난해 대선기간 민주당이 주장한 4조-6조원보다 훨씬 늘어난 것으로 당초 중앙부처만 옮기는 것으로 이전비를 계산했으나 소속기관 등 이전대상 기관이 증가, 사업비도 늘 것으로 추산됐다고 연구단은 설명했다. 부문별 사업비는 용지보상비 4조6천억원, 부지 조성 및 도시기반시설 등 도시기반 조성비 9조9천억원, 공공청사 건축비 5조원, 주택건축비 17조6천억원, 상업.업무용 건축비 4조8천억원 등이다. 연구단은 수도권 정부청사 매각대금으로 2조8천억원을 충당하고 일부 시설에 대해 민자를 유치하면 실제 재정부담은 8조4천억원 이하로 떨어지고 정부투자가 집중되는 2007-2011년에는 연평균 1조1천억원을 투입하면 되기 때문에 재정운영에 큰 부담은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또 인구 50만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도시 규모는 시가지 1천800만평과 녹지벨트500만평 등 2천291만평이 적절하며 도시 형태는 신행정수도의 상징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도시와 일정 거리를 둔 신도시형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2천300만평은 주거.상업.업무용지 570만평, 공용청사부지 및 외교단지 100만평,교육시설용지 50만평, 복지.문화.체육시설용지 70만평, 도로.교통시설용지 350만평,공원.녹지 1천110만평, 유통시설용지 50만평 등이다. 이와 함께 중앙부처 전부와 업무 관련성이 높은 일부 소속기관을 옮기며 입법부와 사법부도 이전하되 국회승인 등 별도 의사결정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1단계로 2020년까지 30만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뒤 2021-2030년 20만명을 추가로 수용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연구단은 신행정수도가 건설되면 2030년까지 수도권 인구가 51만3천명 줄어드는대신 충청권 인구는 65만1천명 증가하고, 공공기관 지방 분산이 함께 이뤄질 경우에는 수도권 인구가 170만명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연간 1조1천억원의 교통비용이 절감되며, 서울 땅값을 2.4%, 집값은 1.6%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신행정수도 부지 결정은 균형발전효과, 국내외 접근성, 자연조건, 주변환경, 경제성 등 5개 기준 및 18개 세부항목을 평가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연구단이 공청회와 전문가 토론 등을 거쳐 연말까지 최종안을 마련하면 이를 토대로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내년 1월중 정부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기자 keykey@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