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 위기 이후 진행된 기업 개혁의 성과로 국내간판 기업들은 현재 글로벌 대표 기업들과 비교해 수익성 측면에서 오히려 우위에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산 운용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단기 자금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점등은 약점으로 지적됐다. LG경제연구원은 3일 '글로벌 기업과 비교한 한국 기업의 현주소'라는 보고서에서 전자, 건설, 통신 등 주요 10개 업종을 선정, 업종별로 국내 3대 기업(2002년 매출액 기준)과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춘이 선정한 '2002년 글로벌 기업' 중 해당 업종에 속한 5대 기업(매출액 기준)을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고 발표했다. 기업 영업 활동의 전반적인 수익성을 파악할 수 있는 '투하자산 수익률'의 경우30개(10개 업종의 각 3개 기업) 국내 대표 기업의 평균값은 12%로 '글로벌 500개(10개 업종의 각 5개 기업)' 기업의 평균인 8.7%를 3.3% 포인트나 웃돌았다. 업종별로는 반도체, 휴대폰 매출 성장과 내수 호조 등에 힘입어 특히 전자(11.3%p), 자동차(10%p), 통신서비스(6.9%p) 업종에서 우위가 두드러졌다. 국내 대표기업들은 이자보상배율도 5.0을 기록해 글로벌 기업의 평균 4.5를 웃돌았다. 이자보상배율은 이자비용에 대한 영업이익의 비율로 이 배율이 '1' 이하일경우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으로는 이자 충당조차 불가능하다는 의미다. 평균 부채비율 역시 국내 대표 기업들의 194.7%에 글로벌 500 기업은 254.5%에달했다. 이 같은 수익성, 재무 상태의 우위와는 대조적으로 자금 운용의 효율성과 재무안정성 등은 국내 업체들이 아직 국제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들의 투하자산 회전율은 평균 1.1로 글로벌 기업의 평균 1.4를 밑돌았다. '투하자산 회전율'은 투하자산이 1년 동안 몇 번 회전했는 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투입한 자산의 운용 효율성을 반영한다. 전체 차입급에서 단기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국내 대표기업들은 무려 72.7%에 달하는 반면 글로벌 대기업들은 19.2%에 불과했다. 임일섭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이에 대해 "외환 위기 이후 우리 기업들이구조조정 노력과 수익성 우선 기조를 유지한 덕분"이라고 풀이하고 "부채비율도 크게 줄고 이자보상배율도 개선되는 등 수익성과 함께 재무구조도 많이 좋아졌다"고평가했다. 임 연구원은 "그러나 재무구조 개선 과정에서 위축된 투자를 되살려 다시 성장기반을 확보하고 단기 자금 의존도를 줄여 재무적 안정성을 높이는 작업 등이 기업들의 과제로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기자 shk99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