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가 경쟁력 순위가 지난해보다 세계단이 상승한 18위로 올라섰다. 제네바에 자리잡고 있는 세계경제포럼(WEF)이 세계 102개국을 대상으로 실시, 30일 발표하는 국가별 경쟁력 평가 및 분석에서 한국은 18위를 기록, 처음으로 20위권 안에 진입했다. 한국의 국가경쟁력은 지난 2000년 28위, 2001년 23위에 이어 올해 다시 18위에랭크됨으로서 3년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올해 경쟁력 순위는 지난해와 산정방식을 달리한 것이 특징으로, WEF가 이를 기준으로 새로 산정한 지난해 한국의 순위는 25위다. 따라서 실제로 올해의 순위는 지난해보다 7계단을 뛰어오른 셈이다. 지난해 평가 대상국은 80개국이었다. 분야별 평가를 보면 한국은 거시경제 환경지수에서 23위, 공공기관지수 36위,기술 지수 6위, 기업활동 및 전략지수 19위, 국내기업환경지수 25위를 차지해 기술부문에서도 고득점을 한 것이 순위 상승의 원동력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기술 부문의 세부 평가 항목에서는 ISP(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의 질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을 비롯, 인터넷 사용인구는 2위, 학교내 인터넷 접속, 정부의 ICT(정보기술산업) 정책은 각각 4위로 평가됐다. 그러나 사법의 독립성(29위), 일관성 없는 조세(47위), 정치인에 대한 신뢰도(42위) 등에서 종합순위보다 크게 뒤지는 평가를 받은 것도 또다른 특징이다. 한편 WEF가 국가경쟁력 순위와 함께 발표한 기업경쟁력 지수(지난해 명칭은 미시경제 경쟁력 지수)는 지난해와 같은 수준인 23위로 평가됐다. WEF가 국제적 기업인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비능률적인 관료제, 정책의 불안정, 노동법상의 규제, 자금조달, 세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됏다. WEF가 아울러 발표한 기타 지수에서는 민간부문의 여성 취업(100위)이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고 출산휴가 관계법령 97위, 직장여성의 모성보호법 95위, 남녀간 임금평등은 90위를 기록해 주로 여성관련 평가항목에서 매우 낮은 점수를 받았다. WEF가 평가한 한국의 언론자유는 58위로 국제적인 언론단체들이 평가한 순위와그다지 차이가 없었다. 올해의 국가별 순위는 지난해 2위였던 핀란드가 1위로 올라선 대신, 미국은 2위로 처졌다. 그 다음은 스웨덴(3위), 덴마크(4위) 대만(5위) 순이다. 독일과 영국,캐나다 등은 10위권을 유지했지만 프랑스는 한국보다 뒤지는 26위에 그쳤다. 아시아 국가에서는 대만이 비록 지난해 3위에서 5위로 처졌지만 가장 높았고 싱가포르가 6위, 일본이 11위로 한국보다 앞섰다. 홍콩은 24위였다. ▲국가별 순위(괄호안은 지난해 순위) ①핀란드(2위) ②미국(1위) ③ 스웨덴(5위) ④ 덴마크(10위) ⑤ 대만(3위) ⑥싱가포르(4위) ⑦ 스위스(6위) ⑧ 아이슬란드(12위) ⑨ 노르웨이(9위) ⑩ 호주(7위) (제네바=연합뉴스) 문정식 특파원 jsm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