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퇴출이 본격화하는 연령이 평균 35세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 평균보다 10년이나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노동연구원(원장 이원덕)이 2001년 노동부의 임금구조 기본통계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금근로자가 직장에서 퇴출돼 실업자가 되거나 자기 사업을 시작해 고용주나 자영업자로 변신하는 등 비임금 근로자로 전환하기 시작하는 평균 연령은 35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30개 OECD 회원국가들의 임금근로자 퇴출 연령은 평균 45세였다. 장지연 연구위원은 "임금근로자의 조기 퇴출 현상은 고령화사회를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큰 사회경제적인 문제로 비화될 수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대기업일수록 준고령자가 회사내에서 '살아남을' 확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5백명 이상 대기업에서 50세 근로자가 55세까지 계속 근무할 수 있는 확률은 29.5%에 불과했다. 예를 들어 50대 초반 근로자 1백명이 있다면 이 중 70.5명이 일자리를 잃는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10∼29명 소규모 사업체에서 50세 근로자의 잔존율은 88.8%였다. 또 근로자를 신규로 뽑을 때 연령을 제한하고 있는 업체가 전체 사업체중 50%였으며 경력직 중도채용에서도 연령을 고려하고 있는 사업체가 24.3%나 됐다. 윤기설 노동전문 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