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요소 생산성(TFP:Total Factor Productivity)이란 특정한 요소의 기여도만으로 해석할 수 없는 총체적인 생산성 증대효과를 말한다. 예컨대 노동 투입량을 두 배로 늘리면 생산량이 두 배로 증가하고 기계를 새로운 것으로 바꿔도 생산량은 늘어난다. 이같은 것들은 개별 투입요소의 변화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법과 제도를 바꿈으로써 나타나는 전반적인 생산성 증대효과는 개별 요인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바로 이 설명하기 힘든 요소를 '총요소'라고 정의한다. 총요소 생산성은 따라서 사회의 정신적ㆍ제도적 인프라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기업과 개인의 창의적 경제활동을 촉진하는 법과 제도는 생산성을 향상시키지만 평등을 지향하고 서로가 딴죽을 거는 사회는 생산의욕마저 꺾어 버리게 마련이다. 로버트 홀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와 찰스 존스 UC버클리대 교수는 1999년 공동연구 논문에서 "국가간 소득 수준의 차이는 총요소 생산성 수준에 달려 있고 궁극적으로는 사회 인프라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한국의 총요소 생산성 증가율은 81년부터 85년까지 연평균 2.1%였으나 86∼90년은 2.09%, 91∼95년에는 0.61%로 급락했다. 외환위기를 겪었던 96∼2000년엔 총요소 생산성이 1.11%로 다시 높아졌다. 외환위기의 와중에서 우리 사회가 기업들의 과감한 구조조정과 해고를 용인했고 외환 규제 등 상당수의 규제가 풀렸던 덕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