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려라."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의 경제성장 이면에는 공통적으로 국가 차원에서 벌여온 생산성 혁신운동이 있었다. 미국이 국가 차원의 생산성 향상에 본격적인 관심을 기울인 것은 지난 80년 2차 오일쇼크 이후부터였다. 로널드 레이건 당시 미국 대통령은 1981년 학계 산업계 노조 등 각계 대표들이 참석한 '생산성 회의'를 열어 △기술 및 품질 개선 △근로자의 창의력 제고 △노사협력 추진 △생산성 측정기법 확립 등을 정부 차원에서 추진했다. 세금을 인하해 기업들의 사업의욕을 북돋웠고 각종 규제들도 없앴다. 이와 함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체결 등으로 시장을 넓혔고 기업들이 값싼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줬다. 싱가포르의 국가생산성 향상 운동은 정부의 주도 아래 기업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진행됐다. 리콴유 전 총리가 국가생산성 혁신운동을 직접 주관했고 매년 2%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달성이라는 목표를 제시한 '도약 싱가포르(Spring Singapore)' 운동을 벌여 나갔다. 기업 단위의 생산성 향상에 주력해온 일본은 1990년대 '거품경제기'를 거치면서 새로운 생산성 향상 패러다임을 만들었다. 일본은 '수익성과 사회성의 통합'이라는 새로운 생산성 개념을 도입하고 '협력적인 노사관계 구축을 통한 산업현장의 안정' 등 국가 차원의 신(新)생산성 향상 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