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이 한국 경제발전을 위해 바람직하지만 양국간 경제력 및 기술격차에서 오는 부작용을 해소할 수있는 방안도 FTA 협상과정에서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일본 경제단체연합회인 게이단렌이 30일 전경련회관에서 공동개최한 `한.일 FTA 필요성과 양국 산업협력 방향' 세미나에 참석한 양국 산업.학계.정부 인사들은 한결같이 한국이 동북아 경제중심지로 성장하려면 한.일 FTA 체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구현 삼성경제연구소장은 한.일 FTA가 체결되면 외국인 투자 확대, 우리기업의 일본시장 진출증가 등의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밝혔으며 이종훈 중앙대 전 총장도 GDP(국내총생산)의 무역의존도가 80%에 달하고 총취업자의 20%가 수출산업에종사하고 있는 한국의 현실을 감안할 때 개방주의 정책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일본측의 사노 타다카츠 경제산업성 심의관은 양국이 FTA를 통해 경제적 유대관계를 강화하고 동북아 지역에서 주도적 입장을 취하는 것이 양국경제에 도움이 될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일 양국간 경제력 및 기술 격차에 따른 부작용도 많이 지적됐는데 정소장은 양국 FTA가 체결될 경우 한국이 저부가가치 산업에 특화되는 부작용도 발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업종별로 철강, 반도체, 조선 등은 한.일 FTA로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지만 자동차, 가전, 기계 등은 일본제품의 한국진출 확대로 국내업계가 다소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전 총장은 한.일 FTA 추진과정에서 만성적인 대일 무역수지 적자에 따른 한국민의 피해의식과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양국간 기술 및 자본 협력, 산업별 이해득실에 따른 보상문제도 슬기롭게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지적에 따라 전경련과 게이단렌은 양국 정부가 FTA 협상에 들어가면 주요 업종의 실무전문가들로 `산업협력검토위원회(가칭)'를 구성해 기업간 제휴, 공동구조조정 등 양국 산업간 전면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키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신삼호기자 s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