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폰이 수난을 겪고 있다. 목욕탕 시험장에서는 물론 카메라폰 제조업체들마저 사내에서 카메라폰 사용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들 전자업체는 기술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보안장치를 강화하고 있는 터에 자사 제품이 보안에 걸림돌로 작용하자 이의 규제를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 삼성전자는 4일 핵심기술 도면 문서 등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 첨단 미래사업을 연구개발하는 일부 사업장을 대상으로 카메라폰 사용을 제한한다고 발표했다. 반도체 디지털미디어 통신제품 등의 생산라인과 연구소 등이 대상 사업장이다. 삼성전자는 직원들에게 카메라폰을 등록토록 한 뒤 '렌즈용 봉인 스티커' 등을 부착해 근무시간 중 보안이 필요한 사업장 안에선 카메라 기능을 사용치 못하도록 할 예정이다. 외부 방문자의 카메라폰 렌즈에도 스티커를 붙이기로 했다. LG전자도 "현재 연구소에서만 카메라폰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으나 전 사업장으로 제한지역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사내 직원들이 보유한 카메라폰을 등록토록 하고 있으며 필요한 경우 휴대폰 교체를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현대·기아자동차 GM대우 등 자동차업계도 최근 한 업체에서 협력업체 직원이 개발 중인 신차의 모습을 카메라폰으로 찍어가는 사건이 발생하자 주요 시설내에서 카메라폰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카메라폰에 대한 규제가 고개를 들기 시작한 데에는 화질이 좋아지고 각종 카메라 장치를 덧붙인 기기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카메라폰은 시판 초기인 올해초만 해도 화질이 10만 화소에 불과했으나 최근에는 30만 화소가 일반화됐으며 일본에서는 디지털카메라에 버금가는 1백만화소 제품들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도 팬택앤큐리텔이 1백만화소 제품 시판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올해 말까지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 3천2백여만명 중 최고 70%가 카메라폰으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LG전자의 한 관계자는 "카메라폰뿐만 아니라 캠코더폰도 판매가 급증하는 추세이고 카메라가 달린 PDA(개인휴대단말기)와 일반 시계도 속속 선보이고 있다"며 "이에 대한 종합적인 보안장치 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택 기자 idnt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