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적정 수준'을 넘어선 부실 채권에 대한대손충당금 부담 등으로 작년에 약 2조2천억원의 수지 부담(당기순이익 감소)을 떠안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은행 수지 개선 효과 면에서는 외형 확대에 의한 이자 수입 증가보다신용 관리를 통한 대출 채권의 건전성 제고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외환 위기 이후 기업 구조조정 추진 등으로 2000년 말현재 국내은행 총여신의 5.6%(29조6천억원)에 달했던 무수익 여신(3개월 이상 연체및 이자 미계상 여신)이 작년 말에는 1.9%(12조1천억원)로 크게 개선됐다. 하지만 이같은 부실 여신 비율은 미국의 시중은행(1.24%)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한은은 미국 시중은행의 부실 여신 비율을 '적정 수준'으로 보고 이를 초과하는부분을 과다 부실 채권 보유로 규정할 때 국내 은행들(국책은행 포함)은 정상 수준이상의 부실 채권 보유로 인해 2조230억원의 대손충당금 부담과 1천700억원의 기회비용(이자 수익 감소) 등 약 2조2천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갉아먹은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작년 국내 은행권의 당기순이익(약 5조원)의 44%에 해당하는 규모다. 한은은 만약 작년에 은행권의 부실 여신이 적정 수준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은 0.35% 포인트 상승하고 총자산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도 각각 0.27% 포인트와 4.59% 포인트가 높아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한은은 따라서 "앞으로 금융기관들은 양적인 외형 확대를 통한 이자 수익 증대노력과 함께 신용 관리 강화로 부실 요인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은 관계자는 "은행의 수지 개선 효과면에서는 외형 확대에 의한 이자 수입 증가보다 신용 관리를 통한 대출 채권의 건전성 제고가 더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