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7일 발표한 '5월 산업활동 동향'에서생산, 소비, 투자의 3대 지표가 모두 하락하는 이른바 '트리플 마이너스'가 외환 위기 직후인 1998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나타났다는 것은 현재 우리 경제가 최악의 국면으로 치닫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비교 시점인 지난해 5월의 어린이날과 석가탄신일이 일요일인 점을 감안하면 금년 5월은 조업 일수가 2일 줄었고 사스와 화물연대 파업 등의 돌출 변수를 감안해도3대 지표가 일제히 감소세를 보인 것은 충격적이라는 게 경제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일부 민간 연구기관이 2.4분기 성장률을 2%대로 하향조정했고 삼성연구소는 1%안팎까지 떨어뜨린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민간에서는 적극적인 재정정책, 그리고 기업들의 투자 촉진을 위한 획기적인 경기 대책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으나 국회는 예산결산위원회조차 구성되지 않아 추경예산의 통과가 미뤄지고 있고 `친노(親勞)'로 비쳐지는 현 정부에 실망한 기업들이해외로 나가겠다고 공언하고 있어 경기 회복을 쉽사리 점치기 힘든 상황이다. 하반기 국내 경기는 기업들의 `하투(夏鬪)' 양상에 따라서도 크게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생산 지난달의 산업생산은 작년동기대비 1.9% 감소했다. 전달보다도 1.7%가 줄었다. 생산지표가 마이너스를 보인 것은 2002년 2월의 -0.8% 이후 15개월만에 처음이며 감소 폭으로는 2001년 8월의 -2.0% 이후 21개월만의 최대다. 주요 업종별로 증감 내역을 보면 자동차(-6.3%), 기계장비(-7.2%), 의복.모피(-30.9%), 섬유제품(-14.9%), 인쇄출판(-16.4%)이 크게 감소했고 반도체(12.2%), 영상음향통신(9.1%)에 이어 1차금속(3.8%)이 그나마 증가세를 유지했다. 평균 가동률은 전월에 비해 2.8%포인트 감소한 73.9%로 1.4분기 77.4% 이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출하가 감소세를 보인 것은 2001년 10월의 -0.4% 이후 19개월만에 처음으로 자동차, 대형 냉장고, 에어컨 등의 특소세 감면 조치 폐지의 탓도 지적됐지만 전반적으로 소비 부진이 바탕에 깔려 있다는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 그나마 수출이 각종 악재를 선방하면서 국내 경기를 견인하고 있다. 5월 중 경상수지는 수출 증가에 힘입어 11억8천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12월 이후 6개월만의 흑자 전환이다. 소비 소비 위축도 심각하다. 지난해 9월 가계대출 억제 이후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지않고 있다. 신용 불량자가 300만명을 넘어서는 등 급증 추세를 보이면서 체감경기가바닥을 뚫고 지하로 내려가고 있다. 지금으로서는 소비를 늘릴 뾰족한 대안이 없다는 게 더욱 답답한 일이다. 소비는 지난해까지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지만 올 들어서는 상황이 바뀌었다. 가계대출이 집중된 부동산 거품에 대한 우려로 은행권이 대출을 더 늘리기도 힘든 상황이고 신용불량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밑바닥 소비는 기대난이다. 하반기 에 21조원 규모에 달하는 카드채 만기 도래로 인한 금융시장 혼란도 연말께나 돼야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설비투자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고 수요를 자극해 경기를 진작시키는 투자의 활성화가 시급하지만 지난달의 설비투자 역시 작년동월대비 8.9%가 감소해 향후 경기 회복전망을 어둡게하고 있다. 5월의 감소율은 은 2001년 8월의 -17.9% 이후 최대 폭이다. 지난 1.4분기의 3.4% 감소에서 3월에는 0.1% 증가로 반전돼 한 가닥 기대를 걸게도 했으나 4월 4.6% 감소에 이어 5월에는 그 폭이 더욱 확대됐다. 자동차, 일반산업용기계 및 특수산업용기계 등에 대한 투자가 특히 부진했고 건설 부문이 포스코의 더샾스타시티(5천362억원) 계약 등 민간 주택과 공공 공사 발주덕분에 호조를 보였을 뿐이다. 향후 경기 전망 현재의 경기 수준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4로 전월보다 0.7포인트 감소했다. 1월 100.9에서 2월 100.5, 3월 100, 4월 99.1로 넉달째 지속되는 감소세다. 6개월 후의 경기 전망 지표인 선행지수도 1년 전보다 -0.8%가 낮아져 13개월째하락세를 보였다. 재경부 관계자는 경기가 예상보다 크게 악화된 것이 사실이며 하반기 경기 회복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향후 성장의 관건이 될 기업들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획기적인 규제 완화를 계획하고 있으며 세제 측면의 지원도 강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4조2천억원 규모의 추경 예산을 하반기에 집행하는 이외에 추가적인 재정대책도 강구 중이다. (서울=연합뉴스) 진병태기자 jb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