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동북아 경제중심으로 발전시키려면 무엇보다도 세계 주요 다국적기업을 한국으로 유치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양수길 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대사는 13일 서강대에서 `동북아경제중심의 타당성과 전략'을 주제로 열린 오피니언 리더스 프로그램(OLP) 과정 세미나에서 동북아경제중심화 전략의 핵심은 한국을 동북아지역의 투자거점으로 만드는데 있다고 역설했다. 양 전 대사는 중국의 경제성장을 한국 경제발전을 위한 기회로 활용할 수 있으려면 우리 경제구조가 첨단기술산업과 고부가가치 부문 중심으로 고도화돼야 한다면서 세계 유수 다국적기업 유치가 우리 경제의 고도화의 관건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호전적 노조, 복잡한 규제체계, 높은 세율, 전문인력 양성체제 미비 등 열악한 기업경영 환경이 다국적기업 유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이런 장애들을 해소하고 북한경제에 동반발전의 기회를 주면 동북아지역 공동체의 꿈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토론자로 나온 송희연 아주대교수, 박해식 금융연구원 연구위원, 정갑영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박연수 인천시 기획관리실장 겸 인천경제자유구역기획단장 등은 동북아 경제중심 전략으로 물류중심화 방안과 금융허브 방안을 제시했다. 송 교수는 `중국충격'에 대비하려면 중국에 비해 경쟁우위에 있는 지식기반 고부가가치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육성해야 한다면서 경쟁우위 분야가 바로 동북아지역의 물류센터 개발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천을 중심으로 하는 '경기만 벨트' 일대에 지역물류센터를 개발하고 세계적인 물류기업(Fedex, UPS, TNT, DHL)들을 유치한다면, 경기만 일대의 배후공단에는 세계적인 고부가가치 첨단제조업의 외국인 직접투자가 크게 신장될 것으로 내다봤다. 박해식 연구위원은 세계경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증대함에 따라 제조업을 근간으로 하는 우리경제의 앞날이 불투명해지고 있는 가운데 동북아 금융허브의 육성은 국내산업구조의 서비스산업으로의 이전을 촉진함으로써 우리경제가 장기적으로 생존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며 금융허브론을 주장했다. 그는 원화의 태환성 제고, 해외금융시장 및 금융기관간의 연계강화, 금융전문인력의 육성, 금융관련 법률체계의 개선 등 금융관련 실행과제를 적극 추진해 우리나라가 동북아 금융허브로 거듭날 수 있는 초석을 다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사회자인 진 념 전 부총리는 상하이 등 경쟁지역의 발빠른 움직임을 감안 할 때 동북아 경제중심화에 긴요한 것은 연구나 토론이 아니고 정해진 방향으로 빨리 가는 시간적 요소가 관건이라며 하루빨리 방향을 정해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어떤 액션 프로그램이 필요한지 결정해야 하고, 기업환경을 개선하며 노사관계를 안정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신삼호 기자 s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