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율이 상승할 때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가)수출가격 경쟁력 개선 (나)수입단가 상승 (다)인플레이션 압력 상승 (라)외채부담 감소 [2] 맥도날드 햄버거 값으로 각국의 환율을 비교하는 '빅맥지수'를 정기적으로 발표하는 곳은? (가)이코노미스트 (나)월스트리트저널 (다)비즈니스위크 (라)파이낸셜 타임스 [3] 한국 원화와 미국 달러화의 교환비율인 원.달러 환율은 현재 어느정도 수준인가? (가)1천원 (나)1천1백원 (다)1천2백원 (라)1천3백원 ----------------------------------------------------------------- 한동안 지속됐던 원화환율 하락세가 요즘 들어 주춤해졌다. 1천1백70원대까지 하락했던 원.달러 환율은 이달 들어 오름세를 타기 시작해 지난주에는 다시 1천2백원선을 넘어섰다. 환율이 오르면 국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우선 환율상승은 수출기업에는 호재로 작용한다. 똑같은 1달러어치를 수출하더라도 환율이 오르기 전에 비해 손에 쥐는 돈(원화)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원.달러 환율이 1천원에서 1천2백원으로 올랐다면 수출기업은 가만히 앉아서 20%의 추가 수익을 얻게 된다. 추가 수익을 수출제품 원가를 낮추는데 사용하면 국제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높아져 결과적으로 수출량을 늘릴 수도 있게 된다. 이에 반해 수입은 환율이 오를수록 줄어드는게 일반적이다. 원화로 환산한 수입제품 가격이 비싸져 국내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수출이 늘고 수입이 줄면 경상수지가 개선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하지만 환율상승이 항상 긍정적인 효과만 내는 것은 아니다. 환율이 오르면 해외에서 원료를 수입해 생산하는 상품의 제조원가를 높여 결과적으로 국내 물가가 올라가는 부작용이 생긴다. 또 외국에서 돈을 꿔온 기업들은 갚아야 할 외채 원금과 이자가 늘어나 고통받게 된다. 환율상승이 수출과 경상수지 측면에서는 '보약'이지만 물가나 외채 측면에서는 '독약'으로 작용하는 셈이다. 하지만 이같은 '일반론'이 항상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한국과 수출측면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통화, 즉 일본 엔화의 환율이 원화환율보다 더 높게 상승하면 원화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출증대 효과가 사라지게 된다. 해외시장에서 한국 상품의 수출채산성보다 경쟁국인 일본의 수출채산성이 훨씬 좋아지는 결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원화환율 상승이 수출을 늘려 경제성장을 촉진한다는 얘기도 이젠 설득력이 약해졌다. 환율이 상승하면 단기적으로 수출이 늘어나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내수시장을 위축시켜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키는 측면이 있어서다. 환율은 수출입 외에 주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앞으로 환율이 계속 내릴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라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외국인들의 주식투자는 점차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국내 주식에 투자하면 주가 변동에 의한 이익 외에 환율변동에 따른 환차익을 덤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환율이 계속 오를 것으로 전망되면 거꾸로 환차손을 줄이기 위해 기존 투자자금을 회수하고 신규 투자를 줄이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주가는 하향곡선을 그리게 된다. 이처럼 국가 경제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율의 가장 적당한 수준은 얼마일까. 이같은 적정환율이 얼마인지를 계산하는 것은 경제학자들의 오랜 관심사였고 실제로 수많은 방법이 개발되기도 했다. 그 가운데 재미있는 측정지표중 하나가 '빅맥(Big Mac)지수'이다. '빅맥지수'란 웬만한 나라에선 다 판매되는 미국 맥도날드의 '빅맥'(쇠고기가 2장 들어간 두꺼운 햄버거)' 가격을 나라별로 비교한 것이다. 영국의 세계적인 경제주간지인 '이코노미스트'가 정기적으로 조사해 발표한다. 빅맥환율을 통해 적정환율을 측정하는 방식은 비교적 단순하다. 미국에서 3달러인 빅맥햄버거가 한국에서 3천6백원에 판매된다고 가정하자. 나라는 다르더라도 같은 물품이면 동일한 가치를 갖는다고 할 때 이론상 균형 환율은 달러당 1천2백원(3600÷3)이어야 한다. 그런데 이 경우 실제 환율이 달러당 1천1백원이라면 한국에서는 똑같은 햄버거가 미국보다 1백원 비싸게 판매되고 있는 셈이 된다. 한국 돈이 외환시장에서의 실제 가치보다 상대적으로 고평가돼 있는 것이다. 물론 이같은 빅맥환율은 실제 판매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각국의 세금 인건비 임대료 등 중간 투입비용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적정환율'로선 한계가 있다. 각국의 물가수준을 감안해 적정환율을 계산하는 방법도 있다. '구매력평가환율(PPP.purchasing power parity exchange rate)'이 바로 그것이다. 구매력평가환율은 한 나라 통화의 구매력과 다른 나라 통화들간 구매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국내물가와 외국물가의 수준을 환율에 반영시킨 것이다. ----------------------------------------------------------------- < A > [1]라 [2]가 [3]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