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지역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금융 구조조정과 부실여신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코노미스트는 최신호(2월7일자)에서 "아시아 국가들이 5년 전의 금융위기를 극복했지만 여전히 2조억 달러에 달하는 부실채권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또 "중국에 대한 평가가 실제보다 부풀려진 측면이 있다"며 "중국의 금융시장이 조만간 제 기능을 찾지 못하면 세계 경제에 큰 재앙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되살아나는 부실채권의 망령=아시아 국가들은 대출시장 비중이 주식과 채권 시장보다 크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대만의 경우 대출시장 규모가 국내총생산(GDP)의 2백60%에 달해 주식시장(1백10%)과 채권시장(45%)보다 월등하다.


그만큼 금융시장 구조가 취약하다는 얘기다.


상당한 규모의 무수익여신(NPL),즉 부실채권도 문제다.


미 회계법인인 언스트&영에 따르면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의 총 NPL은 8천억달러에 이르며 일본을 포함하면 2조억달러로 추산된다.


이것도 국가마다 회계규정이 각각 달라 최소한도로 집계된 것으로 부실채권의 심각성은 훨씬 더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 지적이다.


이코노미스트지는 "NPL은 자금 분배가 왜곡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낮은 금리와 채무지연에 힘입어 하루하루 연명하는 유령 회사들이 존재하는 이상 완전한 경제회복은 요원하다"고 평가했다.


◆중국의 위험한 자본시장(Casino capital)=지난 1990년만 해도 시장 자체가 없었던 중국 증시는 현재 시가총액이 5천억달러에 달해 아시아에선 일본에 이어 두번째 크기로 성장했다.


그러나 주가 조작과 내부자 정보를 이용한 부정 거래에 대한 단속이 사실상 없을 뿐 아니라 상장 회사들의 불투명한 자금거래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중국 증시가 3년이내 개방된다 해도 외국 투자자들로부터 외면받게 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게다가 섣부른 증시 개방은 주가폭락에 따른 정치적 소요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다.


정대인 기자 bigman@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