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에 이어 한진중공업도 임단협과 손배소.가압류 등을 놓고 노사관계가 악화되는 등 중공업계가 연초부터 노사갈등으로 시름을 앓고 있다. 특히 두산중공업 사태 이후 회사측의 손배소 및 가압류 문제가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면서 이를 둘러싼 노사갈등이 다른 업체로까지 번질 조짐까지 나타나고 있다. 4일 업계 등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은 지난달 9일 발생한 전 노조간부 배달호씨의분신 사망을 계기로 노사갈등이 증폭된 이래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노사간 골이 점점 깊어지고 있다. 해고와 징계, 가압류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노조와 회사가 팽팽히 맞서고 있는 두산중공업 사태는 현재 회사측이 블랙리스트를 작성, 노조원 성향에 따라 특근 등을 차별적으로 조처했다고 주장하는 노조측의 폭로와 이에 따른 노동부의 특별조사 방침으로 계속해서 표류하고 있다. 아직까지 임단협을 타결하지 못한 한진중공업도 노조측이 임단협의 조속한 타결과 손배소송 및 가압류 취하 등을 요구하며 지난달 27일 전면파업을 선언, 설연휴전까지 일시 파업을 실시하는 등 노사갈등이 악화일로를 치닫고 있다. 이 중공업체들은 이러한 노사갈등이 노조의 장기파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다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수주계약 및 조업 차질로 적지 않은 영업손실이 예상되는 만큼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이번 두산중공업 사태를 계기로 노조 조합원에 대한 회사측의 손해배상청구 및 개인 가압류 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이 문제를 둘러싼 노사갈등이 다른 사업장으로 번질 수 있어 해당 사업장들은 내심 걱정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사측이 노조측에 가한 손배.가압류 현황은 지난달 22일 현재 두산중공업(손해배상 83억원, 가압류 63억원), 한진중공업(손배 3억9천만원, 가압류 7억4천억원)을 비롯, 현대차, 대우자판, 로템 등 모두 50개 사업장에 총 2천223억원으로 지난해 6월말 39개 사업장 1천264억 원에서 6개월만에 배 가까이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노동계내에서 손배소나 가압류가 신종 노동탄압 수단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많은 사업장에서 불씨로 남았던 손배소 및 가압류 문제가 다시 불거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대화를 통한 노사간의 해결이 시급한 때"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onhapnew.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