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당 월평균 주거.교육비가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외환위기 이전보다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G경제연구원은 9일 '서민가계 압박하는 주거.교육비' 보고서에서 통계청의 도시가계연보 자료를 이용해 전국 근로자 가구의 주거.교육비 부담액을 계산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해 1∼3분기 가구당 월평균 주거.교육비는 85만8천원으로 98년의 73만2천원에 비해 17.3% 증가했고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외환위기 이전인 97년의 30.1%보다 높은 30.8%를 기록했다. 소득 대비 주거.교육비 비중은 외환위기 당시인 98년에 34.3%까지 치솟았다가 이후 소득증가에 힘입어 꾸준히 떨어졌지만 90∼97년(25.7∼30.1%)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편이다. 또 연령대와 소득수준별로는 40대.저소득층 가구의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가구주의 주거.교육비 부담액은 103만원으로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4.2%에 달해 50대(27.7%), 30대(30.8%), 20대(26.1%) 보다 높았다. 특히 40대 저소득층 가구주는 명예퇴직,감원의 주요 대상이 되는데다 낮은 소득과 높은 주거.교육비 부담을 떠안고 있어 가장 힘든 계층으로 분류됐다. 일본과 비교해보더라도 우리나라 가구의 주거.교육비 부담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통계국의 가계조사연보 자료를 기준으로 2001년중 우리나라와 일본의 주거.교육비 부담액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일본에 비해 주거비는 2배, 교육비는 3배정도 더 많이 부담했다. 소득에서 주거.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일본이 4.8%와 2.6%에 그친 반면 우리나라는 10.0%와 7.6%에 달했다. 송태정 연구원은 "소득의 30%를 넘는 과도한 주거.교육비 부담은 소비구조를 왜곡시킨다"며 "이는 근로자의 임금인상 요구와 물가인상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거.교육비 부담을 낮추는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윤섭기자 jamin7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