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발표하는 신용카드사의 연체율 기준을 놓고 당국과 카드사의 이견이 팽팽하다. 금감원은 연체율은 추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일관된 기준으로 발표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반면 카드사들은 ABS(자산유동화증권) 발행으로 매각한 자산을 포함한 기준으로 고쳐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1일 금감원에 따르면 현재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연체율은 ABS발행 자산을 제외한 장부기준(reported)의 총자산에서 연체된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계산한다. 카드사들은 은행과 달리 수신기능이 없기 때문에 자금조달을 위해 자산을 담보로 ABS를 발행하는데 유동화전문회사(SPC)에 매각한 이 자산의 포함여부에 따라 연체율이 달라진다. 금감원의 방식인 장부기준은 카드사들이 요구하는 ABS를 포함하는 관리기준(managed)보다 총자산이 적고 카드사들은 조달금리를 낮추기 위해 주로 우량자산을 위주로 ABS를 발행한다. 따라서 연체율 산정공식의 분자인 연체자산은 큰 변화가 없지만 분모인 총자산은 줄어 연체율이 높아지게 된다. 카드사 관계자는 "국내 카드사들은 2000년부터 ABS 발행을 본격화해 총자산의 30∼40% 수준에 달하고 직접관리하고 있는데 우량자산을 반영하지 않은 연체율은 의미가 없다"며 "미국 등 선진국에서도 관리기준으로 연체율을 발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금감원이 발표한 10월 카드사 연체율에 따르면 LG카드는 11.7%로 전월보다 3.9%포인트 상승했으나 관리기준으로는 7.1%로 전월보다 0.8%포인트 증가에 그친다. 또 연체율이 가장 낮은 삼성카드도 장부기준으로는 7.79%이지만 관리기준으로는5.81%로 훨씬 낮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관계자는 "ABS로 매각한 자산에 대한 법률자문을 구한 결과카드사가 ABS에 대한 권한을 위임받는다고 하더라도 SPC에 매각함에 따라 재무제표에 빠지기 때문에 총자산에 이를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미국은 장부기준과 관리기준 모두 발표하고 있는데 관리기준연체율은 카드사들이 자산의 80% 정도를 ABS로 발행하는 현실을 감안한 것"이라고덧붙였다. 특히 그는 "미국의 카드사들이 ABS로 매각하는 자산은 우리나라와 달리 비우량자산도 많기 때문에 오히려 장부기준이 관리기준보다 연체율이 더 낮다"며 "또한 연체율은 추세가 중요하기 때문에 기준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기자 justdu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