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계' 대북 압박조치로 경수로 건설사업마저 중단할 경우 올 11월 현재 공사비로 쏟아부은 10억달러 가운데 한국이 부담한 약 7억달러(8천400억원)가 전액 회수 불가능하며, 정부의 재정적자로 바뀌게 된다. 주계약자인 한국전력 관계자는 17일 "전체 경수로 건설사업비 46억 달러중 70%인 32억2천만달러를 부담하는 한국의 경우 정부가 그동안 국채발행을 통해 공사비를조달해왔다"며 "그렇기 때문에 국내 참여업체들은 거의 피해를 입지 않는 대신 국가가 재정부담을 고스란히 떠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한전은 그동안 국회에서 예산책정을 통해 경수로 사업비용 해결을 희망하고 있지만, 여야 모두 난색을 표명하고 있고 전기요금 인상을 통한 방안도 산업자원부가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실현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에 비해 공사비 10억달러를 부담키로 한 일본의 경우에는 의회에서 예산을 모두 통과시킨 바 있다. 경수로 건설사업과 관련, KEDO(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는 지난 14일(미 현지시간)뉴욕 집행이사회에서 `12월분부터 대북 중유공급 중단'을 결정한데 이어, 북한의 태도에 따라 현재 진행중인 경수로 사업도 중단할 수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한전 관계자는 "경수로 건설사업 중단은 중요한 대북압박 수단이기는 하지만 중유공급 중단과는 그 차원이 다르다"며 "경수로 건설사업이 도중에 중단된다면 현장을 그대로 남겨놓고 돌아와야 하며 그 피해 규모는 막대하다"고 우려했다. 현재 경수로 사업에 참여한 국내 업체는 한전을 비롯해 현대건설, 대우건설, 동아건설, 두산중공업 등 4개 건설업체이며, 특히 두산중공업은 별도로 원자로 건설사업도 진행중이며 원자로설계는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KOPEC)가 맡고 있다. 11월 현재 25% 정도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는 함경남도 신포 금호지구의 경수로 건설사업이 멈출 경우 한 순간에 '무용지물'로 전락할 뿐아니라, 국내기업 근로자와 기술자들이 모두 철수해야 한다. 건설사업 참여인력은 한국 근로자 700명, 북한 100명, 우즈베키스탄 600명 등 1천400여명에 이르고 있으며, 10억달러의 공사비는 주로 인건비와 설비비, 기자재제작 비용 등으로 사용됐다.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khm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