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는 제조업체가 늘고 있는가운데 정부가 국내 제조업의 기반유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산업자원부는 국내 제조업의 공동화를 우려하는 지적에 따라 관련 대책을 이르면 연내에 마련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산자부 관계자는 "국내 제조업의 공동화 또는 탈(脫)공업화 현황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공동화 대책은 국내 제조업 구조의 고도화나 경쟁력 강화와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자부는 이와 관련, 지난 12일 대한상공회의소, 전국경제인연합회, 산업연구원,LG경제연구원, 전자산업진흥회, 자동차공업협회 등이 참여한 가운데 제1차 대책위원회를 열어 전자, 자동차, 섬유 등 3개 업종에 대한 공동화 현황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자동차 업종의 경우 아직 공동화 문제가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지만 오래전부터 해외이전이 진행돼온 섬유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공동화 문제가 심하다고 진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종별로 차이가 크지만 외국인 투자 감소와 국내기업의 해외투자, 기업규제 등으로 제조업 공동화가 우려된다는 점에 대해서는 참석자들이 전반적으로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대책위 자료로 제시된 산업연구원 연구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의 총고용(취업자 기준)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89년 27.8%를 정점으로 하락, 작년에는 19.7%까지 떨어져 유럽연합(EU)이나 일본보다 더 낮았다. 그러나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는 제조업 비중이 85년의 24.8%에서 지난해에는 33.8%로 오히려 높아짐으로써 제조업 공동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견해가 제시됐다. 다만 작년의 경우 명목 및 실질 부가가치와 고용 등에서 제조업 비중이 소폭 낮아지고 국내투자가 부진한데다 국제투자수지가 악화됨으로써 공동화의 징후가 일부나타나고 있다고 참석자들은 입을 모았다. 특히 지난해 제조업의 투자수지는 해외투자액이 36억8천800만달러, 외국인 투자유치액이 25억1천600만달러로 11억7천2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한편 지난 5월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지역 제조업체 213개 가운데 44.1%가 생산거점을 이미 해외로 옮겼고 33.8%는 이전을 계획중인 것으로파악됐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princ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