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채의존도가 높은 개발도상국은 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금리정책 보다는 환율정책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데이비드 쿡 홍콩 과학기술대 교수는 24일 예금보험공사에서 '금융위기 극복:아시아의 금융개혁' 주제 국제심포지엄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외채의존도가 높고 개방경제를 취하고 있는 소국가들의 경우 국내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를 조정하는 것보다 대외부문의 안정을 우선적으로 하는 환율조정 정책이 경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데 더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개도국의 은행들은 주로 해외차입을 통해 경제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에 부채는 외화표시가 많은 반면 자산은 자국통화표시 위주로 이뤄져 있어 자산과 부채간의 통화표시상 불일치로 인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의 경우 외환위기를 겪을 당시인 97∼98년중 약 1천440억달러의 해외기업부채중 원화표시 부채는 1%미만이었고 62% 이상을 금융기관을 통해 조달했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는 금융부문의 자산과 부채간 통화표시 불일치 정도가 클 경우 환율이나 예기치 못한 국제금리 변동과 같은 외부충격이 금융부문의 대차대조표 경로를 통화 확장.심화돼 경기변동이 증폭되는 구조적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그는 경고했다. 이어 물가안정 목표 달성을 위한 금리정책보다 의채의존도가 높은 금융부문의 안정성을 고려한 환율정책이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예상치 못한 환율의 평가절하가 발생할 경우 국내통화표시 은행부채가 증가하며 이에 따른 재무구조의 악화는 금융시스템의 부도위험의 증가와 국가신용등급의 하락을 초래한다고 그는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jungwo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