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이 중국과 추진중인 자유무역지대 창설은 세계화 경향속에서 해당의 국가의 경쟁력을 높일 수도 있지만 국내취약 산업의 생존 기반을 위협할 수도 있다고 아시안 월스트리트 저널(AWSJ)이 7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아세안 10개국은 내달 캄보디아에서 개최되는 아세안 연례 정상회담에서 중국과 10년내 자유무역협정(FTA)을 맺는다는 기본 합의에 서명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아센안은 이를 통해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게 되는셈이라고 평가했다. 아세안은 무엇보다도 지난 97~98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전 동남아시아 전체의 70%에 달했던 외국인직접투자(FDI) 비중이 최근 30%수준으로 감소한 가운데 중국과의자유무역지대 창설은 FDI의 재유입을 초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그러나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말레이시아는 중국과의 자유무역지대 창설 작업이조속히 이뤄지는 데 유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면서 이들 국가들은 중국산 제품이수입 자유로와질수록 국내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는 AWSJ은 말했다. 이같은 우려는 아세안 일부 국가들이 10년전 기본적인 합의에 도달했던 아세안자유무역지대(AFTA)의 창설을 지연시켜달라는 일부 업계의 압력에 직면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인도네시아섬유협회(API)는 국제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국내 섬유산업을향후 3년 간 아세안자유무역지대(AFTA)의 관세인하 대상에 포함시키지 말 것을 촉구한 바 있다. 로돌포 세베리노 아세안 사무총장은 이에 대해 직물, 완구, 오토바이 제조업 등회원국의 일부 산업은 중국과의 자유무역지대 창설 이후 역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점을 인정했다. 일부 FTA 회의론자들도 아세안과 중국간의 FTA 창설과 관련된 작업 속도가 완만히 이뤄져야 하고 조기수확 프로그램에 따른 농산물의 관세인하에 앞서 기업지배구조 개혁이나 증시 개방 등의 포괄적 경제현안이 먼저 다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이 아세안과 FTA창설을 서두르는 것은 아세안의 성장을 잠재력을 불식시키기 위한 정치적 이유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고이 신문은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국기헌 기자 penpia21@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