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5일 근무제 관련 입법안을 확정함에 따라 이 제도의 도입은 움직일 수 없는 대세로 다가오게 됐다. 산업계는 정부안대로 주5일제가 시행되면 휴가일수가 과도하게 많아지고 인건비 부담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며 경제5단체를 중심으로 입법 저지활동을 벌이겠다고 반발하고 있지만 이 제도 시행은 어쩔 수 없는 대세라는 점은 인정하고 있다. 주5일 근무제를 시행하려면 휴일.휴가제도 개선을 통해 노는 날을 줄이고 초과근로 할증률 개선, 무노동 무임금 원칙 도입 등 선진국 기준에 맞게 근로기준을 고쳐야 하며 시행시기도 기업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가급적 뒤로 미뤄야 한다는 게 산업계의 주장이다. 산업계는 정부가 내놓은 입법안이 예정대로 추진될지 여부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지만 앞으로 계속될 주5일제 논의에서 정부안이 기초가 된다는 점 때문에 국회통과 전까지 기업들의 입장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경제단체들은 정부가 제시한 주5일 근무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노는 날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생산성 및 품질관리의 어려움을 꼽고 있다. 경총 등은 연.월차를 15-25일로 통합하더라도 쉬는 날이 일본보다 많아지면서 근로의식이 저하되고 작업리듬이 자꾸 끊기면서 생산성이 낮아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와 함께 주당 실질근로시간이 50시간에 육박하고 있는 현실에서 주 40시간 근로제를 도입하면서 초과근무 할증률 처음 4시간은 25%, 나머지는 50%를 유지하토록 한 것은 기업들에게 과다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고 평가하고 있다. 산업계는 정부안대로 휴가.휴일제 및 초과근로할증제가 실시되면 기업의 인건비부담이 15-20% 증가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기업들은 또 주5일 근무와 관련, 휴일의 증가로 근로자들의 씀씀이가 늘고 이에 따라 다시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악순환이 생기지 않을까 내심 걱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처럼 노사분규가 심한 나라에서 노조가 임금인상을 요구할 경우, 기업들은 주5일 근무제 시행에 따른 인건비 증가와 노조와의 갈등심화라는 이중고를 안게 된다는 것이다. 경제단체들은 우리 기업들이 주5일제 시행에 따른 부담을 이겨내지 못할 경우, 상당수가 중국 등 인건비가 싼 외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해 제조업 공백사태를 빚을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주5일제를 우리기업의 체질을 강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계기로 활용돼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주5일 근무제에 반대만 할 것이 아니라 우리 기업들이 생산성 향상 노력과 함께 고부가가치화를 추진, 명실상부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들은 주5일제 시행에 따른 부담을 상쇄할 수 있도록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 노력에 주력하고 정부도 노동시장 유연화와 노사안정에 힘쓰며 기업들의 투자활성화를 유도하는 등 적정한 산업육성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편 기업들은 주5일제 시행에 따른 근무체제 변화 등을 놓고 고민하고 있다. 365일 계속 가동해야 하는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업체들은 주5일 근무제 아래서 추가 인건비 부담없이 현재의 3교대 체제를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위해 부심하고 있으며 생산직의 연장근로가 상시화 돼 있는 전자나 자동차 등의 업체들도 연장근무를 강화하는 등의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삼성전자를 비롯, 대부분의 기업들은 주5일제가 시행되면 초과근로수당을 더 주는 한이 있더라도 인력을 추가충원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며 일부 철강기업 등은 3조 3교대 근무를 장기적으로 4조3교대로 바꾸더라도 인력충원은 최소화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신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