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인력이 절대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자체 연구소를 세워 운영할 여력이 없다. 그러나 대학과 연구소의 고급 인력을 연구 및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있다. 바로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제도다. 이 제도를 잘 활용하면 대기업 연구소를 운영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 제도는 중소기업이 대학과 연구기관의 인력과 장비를 활용해 생산현장의 기술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자율적인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협력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정부가 매칭 펀드(Matching Fund)로 지원한다. 올해는 3백81억원의 지원 예산을 확보한 상태다. 대학.연구기관이 7개 이상의 중소기업과 공동기술개발을 위해 구성한 컨소시엄에 자금을 지원한다. 전국컨소시엄과 지역컨소시엄으로 나눠지는데 전국컨소시엄의 경우 사업비의 75%를 정부가 지원한다. 기업은 25%만 부담하면 된다. 지역컨소시엄의 경우 정부가 50%를 지원하며 지방자치단체와 참여기업이 각각 사업비의 25%씩 내면 된다. 컨소시엄에 참가하는 교수 및 연구원이 참여 중소업체에 기술개발지원과 정보제공 등의 토털서비스를 담당하는 테크노 닥터(Techno-Doctor)역할을 맡게 된다. 산.학.연컨소시엄사업으로 개발된 기술이 사업화될 때 사업화자금이 지원될 수 있도록 배려한다. 기술 및 자금을 지원함으로써 중소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도록 하는 제도인 셈이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