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국가들은 노동자들의 여가생활을 너무 존중한 나머지 근로시간 감소로 인한 경쟁력 상실이라는 결과를 자초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 보도했다. WSJ은 최근 유럽 노동자들은 자신들이 `일중독증(workaholic)'에 걸린 미국인들과는 달리 균형적인 인생을 즐기고 있다고 자부하고 있으나 세계에서 가장 짧은 근로시간은 결국 경제회복의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고 논평했다. 20년전만 하더라도 미국과 평균 근로시간이 비슷한 수준이었던 유럽국가들은 근로시간을 줄이는 것이 오히려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장담했으나 올해의 경우 상반기 경제성장률이 1%로 미국의 3%에 비해 턱없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결국 이같은 시도가 성공을 거두지는 못한 것으로 지적됐다. 그러나 이같은 지적에도 불구하고 프랑스는 올들어서도 주당 35시간의 법정 근로시간 적용대상을 20인 이하 사업장으로 확대했으며 스웨덴의 경우 출산휴가를 30일 연장하는 등 근로시간 감축추세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국가들은 휴가기간도 지난 20여년동안 거의 두배로 늘어난 상태로 대부분의국가에서 6주 휴가가 보편화돼 있으며 독일의 경우 매년 병휴가 기간이 10일에 달하고 있어 근무시간은 반대로 계속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해 현재 독일의 평균 근로시간은 연 1천400시간으로 지난 80년에 비해 17%나 감소한 반면 미국은 1천800시간으로 20년전과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 전통적으로 근로시간이 서방선진국에 비해 길었던 일본도 장기불황으로 근로시간이 줄어들고 있으나 미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럽보다는 훨씬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WSJ은 이같은 유럽과 미국.일본과의 차이는 단순히 근로시간의 문제가 아니라경제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지적했다. 역사적으로도 지난 50,60년대 2차대전 직후에는 유럽국가들이 경제부흥을 위해적극적인 개발에 나서 당시 미국의 두배수준인 5%에 가까운 고성장을 이룩했으며당시 평균 근로시간은 2천100시간으로 미국의 1천900시간보다 많았다고 이 신문은전했다. 그러나 70년대 들어 에너지위기로 인해 미국이 적극적인 구조조정에 나선 반면유럽은 안일한 자세로 실업수당을 늘리고 기업해고에 대한 규제를 강화함으로써 고용시장을 중심으로 경제기반이 약화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리먼브러더스 증권의 통계에 따르면 70년대 이후 미국이 5천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 반면 유럽은 1천만개에 그쳤으며 미국의 실업률이 계속 떨어진 반면 유럽국가들은 10%이상의 실업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에 있어서는 근로시간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고용을 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큰 피해를 입고 있으며 대기업도 고용비용이 감당할 수 없는 상황에까지 달해 결국 해외진출에 나서고 있으며 이는 부의 유출현상을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실제로 프랑스를 대표하는 자동차 생산업체인 PSA푸조의 경우 지난 10년간 국내근로자의 수를 4천명 감원한 반면 해외에서 고용한 근로자수는 6만8천800명에 달한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연합뉴스) 이승관기자 huma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