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 투자한 국내기업의 3분의 1이 중국에 진출했지만 향후 투자지역으로는 동남아국가연합인 아세안(ASEAN)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있다. 그러나 해외투자의 성과는 매출성장률이나 시장점유율, 경상이익률 등에서 기대에 못미치는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산업자원부와 산업연구원이 지난 5월 국내 1천여개 기업을 상대로 조사한`제조업 해외투자현황'에 따르면 응답업체의 20%가 해외에 투자중이며 26%는 투자를계획하거나 고려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해외투자업체의 투자대상국은 중국이 34%로 가장 많은데 이어 아세안(25%),북미(15%), 일본(8%), 서유럽(5%), 중남미(4%), 동유럽(3%) 등의 순이었다. 반면 계획.구상중인 업체의 향후 투자대상국으로는 아세안(37.1%)이 가장 많았고 북미(19.7%), 일본(18.9%), 중남미(7.6%), 서유럽(5.3%), 동유럽(3.8%) 등의 순이었으며 중국(0.8%)은 가장 선호도가 낮았다. 해외투자의 성과에 대해서는 3.0(보통)을 기준으로 매출성장률(2.8), 시장점유율(2.7), 경상이익률(2.6) 등이 모두 보통 수준에도 못 미친 가운데 진출한지 오래된 업체일수록 성과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산자부는 설명했다. 진출유형은 ▲판매법인 46% ▲생산법인 31% ▲연구개발(R&D)법인 9% 등이었다. 투자동기는 시장확보(37%)와 생산비용 절감(32%)이 많은 가운데 선진국의 경우시장점유율 확대를, 중국 및 아세안은 생산비용 절감을 노리는 경우가 많았다. 투자형태를 보면 ▲자회사 신규설립 56% ▲합작회사 신규설립 27% ▲기존회사출자.매수 5% 등으로 나타나 신규설립이 대부분이었다. 부품업체와 동반진출한 곳은 19%이며, 성과도 불만족스럽다는 곳이 많았다. 투자조건은 49%가 별다른 조건이 없다고 답한 가운데 북미(74%), 일본(79%), 서유럽(80%) 등 선진국에서 투자조건이 없다는 기업의 비율이 높은 반면 개도국을 중심으로 현지인 고용의무나 수출의무, 기술이전 등의 조건이 붙은 곳도 있었다. 판로는 현지판매 57%, 제3국판매 22%, 대(對)한국판매 12% 등이었고 국내 모기업과의 거래비율이 자금조달(48%), 자본재조달(66%), 부품조달(57%) 등에서 높았다. 생산법인 가운데 일관생산 유형은 전체의 54%였지만 비중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전망됐으며, 전체의 20%만이 규모의 경제효과를 보고 있다고 답했다. 연구개발법인은 수출품 판매지원을 위해 진출한 곳이 많았고 주된 기능으로는정보수집(39%)과 제품개발(36%)을 꼽았다. 해외투자에 따른 국내산업에의 영향에 대해서는 생산(45%)과 고용(66%), 투자(31%) 등의 감소를 지적하는 곳이 많았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princ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