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idence' 'Trust' 'Reliability'.이 용어들은 각기 다른 상황에서이긴 하지만 모두 '신뢰'를 의미한다. 최근 미국에서 발생한 일련의 사태와 더불어 경쟁환경의 변화를 생각해 보면 앞으로 경쟁력의 조건을 따질 때 신뢰라는 것이 무엇보다 강조될 전망이다. 원래 회계와 컨설팅이라는 업무 사이의 '벽'은 보통의 벽이 아니었다. '만리장성(Chinese Wall)'이라고 표현한 것만 봐도 그렇다. 하지만 만리장성은커녕 서로 넘나드는 문턱에 불과했으니 믿음이 실망으로 변한 폭도 그 정도였는지 모른다. 그래도 경계선을 지키는 줄로 믿어 왔는데 내로라하는 애널리스트(분석가)들의 실상이 드러나자 투자자들은 차라리 허무했을 것이다. 또 선진기업으로 알려졌던 업체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실적을 조작한 것이 밝혀졌으니 그 불신의 범위가 어디까지 확대될지도 가늠하기 어렵다. 이것은 바로 미국경제를 흔들고 있는 측면들을 가리킨다. 한 마디로 맨 먼저 거론한 신뢰,즉 'Confidence'의 위기다. 이런 실상이 어디 미국뿐일까만,어쨌든 무너진 신뢰의 파장과 함께 미국이라는 상징성이 전세계적으로 신뢰를 더욱 중요한 경쟁력 조건으로 부각시킬 것만은 틀림없다. 요즘을 기술 및 지식경쟁시대라고 하지만 이것은 신뢰와 무관한 것일까. 신기술의 특성이라면 공통적으로 지적되는 것이 '과학의 산업화''융합의 가속화'등이다. 이것들은 곰곰 생각해 보면 이제 더 이상 혼자서 발버둥쳐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무슨 '시스템'경쟁이니,'네크워크'경쟁이니 하는 것들이 부상한다. 기업 대학 연구소간 협력이 강조되는 것도 바로 그런 까닭이다. 이런 '네트워크' '시스템' '협력'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무엇일까. J E 파운틴 하버드대 교수는 그것이 두번째로 거론한 신뢰,바로 혁신에 관련된 사람들 내지 조직들간의 'Trust'라고 단언한다. 이런 의미의 신뢰를 기준으로 우리의 신기술 경쟁력을 평가해 보면 어느 정도나 될까. 우리나라의 경우 이달부터 시행에 들어간 제조물책임(PL)법은 어찌됐건 기업들로 하여금 고객들의 제품에 대한 신뢰를 중시하게 만들 것이다. 하지만 제품에 대한 신뢰가 어디 '제품의 안전성'에만 머무는 일일까. 이제는 재래적 품질에서 안정성,나아가 미래의 품질인 수명 고장률 등 모든 측면에서 제품에 대한 '믿음의 정도'가 매우 중요해졌다. 사실 우리 산업구조의 아킬레스건이라는 부품ㆍ소재산업만 해도 그렇다. 신뢰성이라는 벽을 넘지 못하고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까. 이것이 바로 세번째 거론한 신뢰,'Reliability'다. 그 어떤 상황에서의 의미이건 간에 모든 차원에서 신뢰를 높이는 것,그것이 바로 경쟁력인 시대다. 논설ㆍ전문위원 경영과학博 a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