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업씨에 대한 검찰 수사결과 삼성, 현대 등 대기업들이 김씨에게 거액을 제공한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대기업의 도덕성과 투명경영에 대한 논란이 다시 불거질 전망이다. 특히 김씨에게 청탁을 목적으로 돈을 제공한 기업도 있지만 이들 대기업은 특별한 대가없이 정권 실세에게 활동비 명목의 `보험성' 돈을 준 것으로 나타나 '정경유착'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돈의 출처에 대한 검증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기업들은 이번 수사결과에 대한 반응을 극도로 자제하며 이번 사건의 `불똥'이 번지는 것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김씨에게 99년 12월 5억원을 제공한 삼성의 경우 이번 수사결과에 대해 '특별히할 말이 없다. 정확한 내용을 알 수 없다'며 조심스런 반응을 보였다. 고 정주영 현대 명예회장이 김씨에게 16억원을 제공한 것과 관련, 현대의 경우 이미 그룹이 나눠진 상황에서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는 않고 있으나 정권과의 연결고리 마련을 위해 보험성으로 돈을 내지 않았겠느냐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 김씨에게 2000년 당시 사장이 2천만원을 준 것으로 밝혀진 주택공사의 경우도 `모르는 일'이라며 문제의 돈이 오사장 개인 돈인지 회사 공금인지를 파악한다는 입장이다. 기업의 투명성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불거진 이번 사건으로 해당 기업들은 도덕성에 흠집이 나는 것이 불가피해 졌으며 앞으로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보완이나 감시활동 강화와 함께 이들의 자성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김씨에게 제공한 돈의 출처가 어디냐에 따라 회계 투명성 문제가 다시 도마위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참여연대 등은 정경유착의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며 일부 대기업에서 김씨에게 제공된 돈이 회사 공금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주주대표 소송 등을 제기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 김상조(한성대 교수)소장은 "대가성 여부와 관계없이 제공된 돈의 출처가 개인 돈이 아니고 회사자금일 경우 이는 횡령에 해당되기 때문에 형사처벌을 받아야 한다"며 "불법행위 통해 회사와 주주에게 손해도 끼쳤기 때문에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고 밝혔다. 김소장은 또 "경제위기 직후 재벌개혁 정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대기업이 정경유착을 시도한 것은 재벌개혁이라는 국민적 과제를 무시한 처사"라며 "기업경영 투명성에 대한 감시활동 강화와 엄격한 처벌 등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업 ju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