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 이후 자본재 수입 가운데 기계류의 비중은 낮아진 반면 전자전기제품의 비중은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본재 수입선 가운데 중국이 독일을 밀어내고 일본과 미국에 이어 제3위의도입선으로 급부상하고 아세안(ASEAN)으로부터의 수입도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3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96년 이후 자본재수입 동향을 분석한 결과, 총 수입에서 자본재 비중이 `38±2%' 범위로 나타난 가운데 설비투자가 1% 증가할 때의 자본재수입 증가율이 외환위기 전에 1.33%에서 후에는 1.04%로 둔화됐다. 특히 기계류의 수입증가율은 외환위기 전 1.54%에서 이후에는 1.06%로 변화, 설비투자 증가에 따른 수입 증가율 둔화가 뚜렷했다. 이는 국내 자본재산업의 경쟁력 향상으로 수입대체가 이뤄지면서 기업 설비투자가 급격히 증가하더라도 자본재 수입은 과거에 비해 크게 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산자부는 풀이했다. 품목별로는 기계류의 경우 96년에 자본재수입에서 54% 비중을 보이던 것이 2001년에는 32%로 축소된 반면 유.무선통신기기와 정보기기 등 전자전기제품의 경우 정보기술(IT)산업의 발전으로 46%에서 68%로 확대됐다. 자본재 수입선별로 비중변화를 보면 96년에 일본(33.6%), 미국(30.3%), 독일(8.3%), 싱가포르(2.6%), 대만(2.6%) 등이 1∼5위를 차지했지만 2001년에는 일본(29.1%), 미국(24.5%), 중국(7.5%), 대만(6.4%), 독일(5.2%) 등으로 변화했다. 중국의 경우 96년에 1.7% 비중으로 영국(2.2%), 이탈리아(2.0%), 프랑스(1.7%)등에 이어 9위였지만 불과 5년만에 3위로 올라선 것이다. 또 2001년 6∼9위도 말레이시아(4.1%), 싱가포르(4.3%), 필리핀(2.7%), 프랑스(2.1%) 등으로 순위변동을 나타내, 동남아국가로부터의 수입이 크게 증가했다. 이때문에 지역별로 보면 유럽연합은 96년 18.9%에서 2001년 13.9%로 축소된 반면 ASEAN은 5.2%에서 12.9%로 비중이 2배 이상 확대됐다. 품목별 수입선은 기계류의 경우 일본(34.1→35.6%), 미국(28.1→24.9%), 유럽연합(25.9→25.3%)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반면 전자전기제품의 경우 일본(31.9→25.8%), 미국(32.5→24.4%), 유럽연합(11.1→8.9%) 등의 비중이 낮아지고 중국(4.0→11.0%), ASEAN(10.2→17.5%) 등은 96년보다 훨씬 높아졌다. 산자부는 "이번 분석을 보면 중국과 ASEAN지역에 대한 다국적기업의 투자에 따라 이들 지역으로부터의 자본재 수입이 크게 늘고 있다는 점과 경기회복과 함께 설비투자가 증가해도 외환위기 전에 비해서는 자본재수입이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princ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