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1일 한·일정상회담에서 '한·일자유무역협정(FTA)산·관·학연구회'를 조기에 발족시키기로 한 것은 국경 없는 무역시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포석이다. 두 정상은 이날 양국간 FTA를 조기에 체결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첫 회의 날짜까지 잡았다. 한덕수 청와대 경제수석은 "세계 각국이 FTA를 체결하는 것이 추세"라면서 "양국 정상이 보다 긴밀한 경제교류 확대를 위해 협정체결이 불가피하다는 점에 공감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양국은 향후 2년간 2∼3개월에 한 차례씩 △한국측에서 외교통상부 한일FTA전담반장을 대표로 한 4개부처(재경·외교·농림·산자부) 과장급과 산업계 및 학계 대표 각 2∼4명 △일본측에서 4개성(외무 재무 경제산업 농수산) 심의관 및 7개성 과장급,산업계및 학계 대표 각 2∼3명씩이 참석한 가운데 실무회의를 갖는다. 그러나 한·일 양국이 FTA를 체결하기 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현재 한국은 전세계 어느 나라와도 FTA를 체결하지 못하고 있다. 칠레와 FTA 체결을 서두르고 있으나 양국 피해농민과 경제계의 반발로 협약 체결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한·일 양국이 최종 협약을 체결하기까지는 짧게는 3∼4년,길게는 5∼10년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그동안 양국 정부와 경제계는 지리적으로 인접한 두나라의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FTA체결이 불가피하는 데 인식을 같이해온게 사실이다. 그러면서도 적극적인 논의는 미뤄왔다. FTA의 체결로 불이익을 보는 양국 업계의 거센 반발을 의식했기 때문이다. 도쿄=김영근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