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국민 개개인이 느끼는 장래에 대한 막연한불안(장래불안)이 개인소비를 연간 4조2천억엔 가량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일본의 한 민간연구소가 밝혔다. 이는 일본 국내총생산(GDP)의 1%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임금하락과 사회보장제도의 장래에 대한 불안이 개인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거론된 적은 있지만 구체적 수치로 제시되기는 드문 일이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은 28일 미즈호종합연구소의 이같은 연구결과를 보도하면서최근의 주가 하락과 금융불안, 기업도산 증가 등이 모두 `장래불안'에 직결되기 때문에 앞으로도 개인소비는 한층 신중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장래불안'은 ▲금융불안과 기업도산 빈발 ▲재정악화와 공적연금제도에 대한불안 ▲가입해 있는 생명보험회사의 도산 등 누구나가 막연히 느끼는 불안을 의미하며 소비심리를 급격히 위축시킨다. 미즈호종합연구소는 단기적인 임금 변동기대나 소비자의식조사 등과 과거의 장기적인 소비억제효과와의 관계를 토대로 앞으로의 소비억제 효과를 계산했다. 이 연구소의 계산에 따르면 97년의 금융불안 사태로 장래불안에 따른 개인소비억제액은 연간 7조엔에 달했다. 이후 재정이 동원되고 대형 은행에 공적자금이 투입되면서 2000년에는 소비에미치는 마이너스 효과가 해소됐으나 그후 다시 금융불안이나 구조개혁 지연 등으로현시점에서의 소비억제효과는 4조2천억엔에 이르고 있다고 이 연구소는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이승관기자 human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