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기조가 단기간내에 해결되기 어려운 만큼 우리 기업들이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KOTRA는 11일 '중국 디플레이션 시대의 대응전략'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이 90년대 후반부터 유효수요 부족에 따른 디플레이션 국면에 진입했으며 재정지출 확대 등 중국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런 국면이 예상보다 오래 진행될 수 있다"는 분석을 제시했다. 실제로 중국의 소비자 물가는 98년에 0.8% 떨어졌고 99년에도 1.4% 하락했으며 재작년에는 다소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작년 하반기부터 다시 큰폭의 하락세로 돌아섰다. 공산품 공급과잉 현상도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보고서는 이에 대해 "개혁과 개방으로 상징되는 경제체제가 확산되고 사회주의 분배시스템이 와해되면서 장래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 소비심리가 냉각된 측면이 크다"면서 "빈부격차 확대도 단기간 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소득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지난해 중국이 0.45 수준으로 우리 나라의 0.319보다 컸으며 개인 저축도 수차례에 걸친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에 따른 약 5년간의 전환기를 지나 새로운 소비습관이 정착되기 전까지 디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현지 진출 기업은 채산성 악화에 대비해 수출과 내수 비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중국 수출기업들은 공급과잉 상태에서 저가 수출을 지속하면 반덤핑 조사의 빌미를 제공하게 되는 만큼 수출물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제시했다. 보고서는 아울러 시장 세분화 전략을 통한 잠재 수요층 공략, 정보기술(IT) 등 신산업 분야 선점, 중국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등도 대비책으로 제시했다. (서울=연합뉴스) 경수현기자 ev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