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7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콜금리가 인상될 것인지에 대해 금융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 등 정부 관련 부처와 국책연구기관 등이 경기전망과 콜금리 인상에서 다양한 입장을 밝히고 있는 가운데 한은은 이에 대해 확실한 입장을 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콜금리 인상을 둘러싼 찬반 양론이 본격화하고 있다. 한은은 콜금리 인상에 대해 이렇다할 입장을 정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박승 총재는 지난달 7일 금통위 회의후 "시장은 금리 인상에 대비하라"고 밝힌데 이어 같은달 16일 국회 조찬강연에서는 "금리 조정은 시장이 기대한 시기에서 3개월 오차 범위내 이뤄질 것"이라며 금리 인상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그는 이어 같은달 25일 "4월 거시경제 지표를 보고 금리 수준을 결정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시기를 암시했다가 30일에는 "금리 인상여부는 결정된 바 없다"고 한발 물러섰다. 박 총재의 이같은 발언은 한은이 금리 인상 시기와 폭을 아직 결정하지 못한 채고민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따라 시장에서는 '5월중 인상론'이 다소 누그러지면서 '5월 현수준 유지'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여기에는 미국 경기가 침체에서는 벗어나기는 했지만 최근 미국 증시가 약세를면치 못하는 등 회복 속도가 늦어지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뒷받침되고 있다. 즉 수출 대미(對美)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서는 수출과 설비투자가 급증해경기과열에 이르고 금리 인상으로 과열을 진정시켜야 하기까지는 시간이 좀더 걸릴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박 총재가 "현재 경기는 과열 단계는 아니다"라고 누차 밝힌 것에서도 금리 동결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여기에다 4월의 거시 경제지표가 과열이라고 단정할 만한 요인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도 금리 인상 주장을 퇴색시키고 있다. 4월의 수출은 작년동월에 비해 9.7% 증가율을 기록, 두자리 숫자가 아닌 한자릿수에 그쳤고 5%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던 3월중 산업생산도 작년동월 대비 4.4% 증가하는 데 머물렀으며 1분기 설비투자도 작년동기대비 2% 증가했다. 이같은 지표에는 한은이 통화정책 기조를 경기부양에서 중립으로 바꾼 결과가 반영됐다고는 하나 '경기 부력(浮力)'이 지속될 것이라는 확신을 주기에 아직 미약하다는 게 한은의 판단인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나타난 원.달러 환율의 급락세는 금리 인상의 가능성을높여주고 있다. 환율 하락으로 수입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최근 이동통신요금 인하로 물가 상승요인이 줄어든 점은 금리 인상으로 인한 물가상승 부담을 덜어줘 금리인상의 여지를 넓혀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또 앞으로 6-12개월후 경기 과열이 나타났을 때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한은의 금리정책이 선제적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점도 콜금리 인상에 무게를 실어준다. 한은 관계자는 "금통위원 사이에서도 콜금리 인상 및 현 경기 상황에 대해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합의를 이끌어내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양태삼 기자 tsyang@yonhap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