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 근무제 도입을 위한 노사정위원회 논의가진행중인 가운데 서울지하철공사 등 일부 공기업 노조는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노사정위에서 기자회견을 자청, 주5일 근무제의 조속한 도입을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당초 노사정위 회의실에서 예정돼 있었으나 민주노총 소속 해고자 10여명이 `비정규직과 영세 노동자 보호 없는 주5일 근무제 합의에 반대한다"며 몸싸움을 벌이는 등 실력저지에 나서 파행으로 진행됐다. 서울지하철공사 배일도(裵一道) 노조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주5일 근무제 도입은 노동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복지사회구현, 일자리 나누기, 기업 경쟁력 강화등을 위해 반드시 도입해야 할 국가적 국민적 과제"라며 "노사정은 먼저 이러한 목표를 구현하는 방향에서 대원칙에 합의하고 세부사항은 노사간, 노정간 별도 실무교섭을 통해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배 위원장은 이어 "공공부문 등을 포함해 실시 가능한 분야부터 주5일 근무제를전면 시행해야 한다"며 "5월까지 노사정 합의가 없을 경우 공공 노동자들은 근로시간단축 실현을 위한 총력투쟁에 돌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자회견에는 공공부문노동조합연대준비위 소속 전국지방공기업노조협의회 배일도 위원장과 도시철도연맹 하원준 위원장, 정부투자기관노조연맹 장대익 위원장, 공공서비스연맹 이관보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한편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성명서를 통해 "현재의 논의대로라면 전체 노동자의86%에 달하는 300인 미만의 중소 영세 사업체에서 일하는 1천100만 노동자들은 5년뒤에나 주5일의 혜택을 보게 된다"며 "중소영세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노동조건 후퇴를 강요하는 합의에 반대하고 있는데 일부 공기업 노조에서 합의를 촉구하는 것은이기주의로 오해받을 만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성한 기자 ofcours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