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재벌과 은행의 구조조정으로 소매금융이폭발적으로 증가해 신용카드 거품이 우려된다고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 최근호가 지적했다. 이 잡지는 현재 은행과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의 절반에 달하는 350조 원을 개인과 가계 대출이 차지하며 지난해 주가를 81%나 밀어올린 자극제는 신규대출이었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 보도에 따르면 이 같은 급격한 대출 증가는 경제의 지속성장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으며 특히 신용카드가 가장 큰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인들은 신용카드를 사용해 443조 원 규모를 구매하고 대출했다. 이는 지난 98년이후 연평균 90% 늘어난 규모이며 카드사용자 당 보유카드 수가 지난 2년간 1.8매에서 4매로 증가했다. 지하경제를 양성화하려고 도입한 세금감면 혜택도 카드사용을 확대한 원인이었으며 이를 주도한 쪽은 영업 확대에 나선 은행과 카드회사들이며 특히 삼성과 LG카드가 공격적이었다고 이 잡지는 지적했다. 이 회사들은 청소년들에게, 심지어 길에서도 카드를 발급했으며 카드 거래의 60%가 현금 대출이었다는 비은행금융기관협회의 통계는 걱정스러운 측면이라고 이 잡지는 덧붙였다. 감독 당국은 카드 거품을 방지하기 위해 금융기관들이 현금 대출 비중을 낮추기를 원하며 가두 발급을 금지하고 청소년에게는 소득 증명을 보고 카드를 발급하도록 했다고 이 잡지는 전했다. 그러나 메릴린치 홍콩의 은행분석가 키스 어빙 씨는 은행의 카드 대출은 전체개인대출의 15%에 불과하고 카드대출 연체율은 미국의 거의 2배에 달하지만 전체 개인대출의 연체율은 미국의 절반에 불과한데다 주택을 담보로 해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의 관심 대상은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지 국가경제 전체가 아니라고 이 잡지는 전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연체율이 낮다고 하더라도 소비자들은 카드빚을 상환하는데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며 이는 경제성장을 약화시킨다고 전했다. 모건스탠리 홍콩의 앤디 시 씨는 개인대출이 현재 추세대로 늘어나면 연말에는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의 70%에 이른다고 예측했다. 이 같은 부채율 상승은 이미 한국은행 총재가 시사한 바 있는 금리인상이 있을경우 더욱 큰 부담이 된다고 이 잡지는 말했다. 소비자 물가상승률도 지난 1-2월에상승하기 시작했고 부동산 가격도 급등하는 상황에서 머지않아 한국 소비자들은 속도를 늦춰야 한다고 이 잡지는 경고했다. (런던=연합뉴스) 김창회 특파원 ch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