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에선 정치자금을 '게임이론'으로 설명하곤 한다. 이 이론은 상대방이 최적의 선택을 할 것으로 보고 자신의 합리적인 선택을 찾는 방안. 정치자금을 주는 기업이 대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면 모든 기업들은 정치자금을 낼 것이고 연쇄적으로 결국 정치자금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더욱 경제발전을 지체시킨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다. 물론 시장경제 기반이 갖춰지지 않은 경제발전 초기 국가들에는 정치권이나 관료에 급행료를 치르는 것이 오히려 효율적일수 있다고 한다. 대개 1인당 국민소득이 3천달러 이하인 저소득 개도국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경제발전단계가 높아질수록 뇌물과 부패는 시장기능을 마비시키고 경제성장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인당 국민소득이 1만달러에 접어들 때 부패 고리를 청산하지 못하면 경제성장이 멈추면서 위기 상황을 맞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해외 자본을 끌어들이는 데에도 정치자금은 해악이 되고 있다. 외국인 직접 투자(FDI)는 정치자금이 만연한 곳에는 거의 들어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는 실정이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