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경제5단체는 이날 성명을 내고 불법파업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노총의 주력부대인 금속연맹에 소속돼있는 자동차 업계는 노조의 파업참가 강행에도 별다른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사정이 나은 현대자동차가 만일의 사태에 관리직 직원을 생산라인에 투입하는 비상 시나리오를 작성해 놓고 있는 정도다. 자동차 3사는 파업에 들어갈 경우 현대자동차는 시간당 45억원, 기아자동차는 15억원, 쌍용자동차는 8억원 정도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따라서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피해액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전망이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주문이 밀려있는 상태에서 노조가 회사밖의 문제로 파업을 하겠다니 난감하다"며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수출에도 적지않은 타격을 입게 된다"고 말했다. 코오롱 한국합섬 금강화섬 등 화섬업체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들 회사의 노조는 2일 총파업에 들어간뒤 오후 3시 구미역광장에서 열리는 총파업투쟁 승리를 위한 결의대회에 참가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그러나 회사측에서는 별다른 대응책이 없는 상태다. 김성식 LG경제연구원 연구원은 "발전노조의 파업으로 촉발된 민노총의 연대파업은 정부.사측과 노조간 접점을 찾기 힘든 민영화 문제에서 시작됐다"며 "경제 주체들간의 소모전때문에 모처럼만에 회복된 국가신인도가 하락하고 월드컵의 성공적 개최도 차질을 빚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연대파업의 여파는 지속적이기보다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김석중 교보증권 상무는 "워낙 증시 분위기가 좋아 민노총 총파업 같은 장외요인은 영향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김 상무는 이어 "외국인의 시각이 걱정"이라며 "최근 무디스가 국가 신용등급을 2단계 상향조정했지만 연대파업이 전세계에 한국의 노동시장 유연성은 여전히 '낙제점'이라는 사실을 재확인시켜 주는 계기가 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태완.홍성원 기자 tw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