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지난해 4.4분기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1.7% ㉯2.7% ㉰3.7% ㉱4.7% 【2】지난해 우리나라 경제가 기록한 연간 경제성장률은. ㉮1.0% ㉯2.0% ㉰3.0% ㉱4.0% 【3】지난해 한국보다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국가는. ㉮인도 ㉯영국 ㉰태국 ㉱미국 【4】한국이 경제성장의 중심지표로써 국내총생산(GDP)을 사용하기 시작한 연도는.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5】경제성장 지표로서 국내총생산(GDP)이 사용되기 전에 쓰인 것은. ㉮GNP ㉯GRP ㉰GIS ㉱GAAP ----------------------------------------------------------------- 지난해 4.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높은 3.7%를 기록해 연간으론 3.0% 성장했다는 한국은행 발표가 있었다. 이를 계기로 국내외 경제연구소들은 경기가 지난해 3.4분기중 바닥을 통과했으며,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인 5∼6%에 육박하거나 이를 넘어설 수도 있다는 전망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한국 경제는 지난해 세계 경기의 동반추락 속에서도 플러스 성장세를 유지, 비교적 선방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경제성장률에서 주요 경쟁국들중 중국(7.3%) 인도(5.4%)에 이어 세계 3위의 기록을 세웠다. 특이하게도 미 테러사태 직후인 4.4분기부터 빠른 회복세를 보여 주목을 받고 있다. 경제성장률이란 각 경제활동 부문이 만들어낸 부가가치가 전년과 비교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나타내 주는 지표다. 일정기간 동안 한 나라 경제가 이룩한 성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의 하나로서 물가 실업률 국제수지 등과 함께 경제정책의 수립이나 평가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국민경제가 성장하면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소득이 증대되는 등 국민의 후생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도 관심이 높은 경제지표라 할 수 있다. 경제성장률이라 하면 물가요인을 뺀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뜻하는데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GDP 성장률(%)=(올해 실질GDP-전년도 실질GDP)÷전년도 실질GDP×100 이다. 한국은 1994년 이전까지만해도 경제성장의 중심지표로써 국민총생산(GNP)을 사용했다. 한 나라가 소유한 생산요소를 국내외의 생산활동에 참여시킨 대가로 받은 소득을 합계해 산출한 것이 바로 GNP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경제의 국제화가 급격히 진전되면서 노동과 자본의 국가간 이동이 확대됨에 따라 소득지표에 가까운 GNP 기준 성장률이 국내경기 및 고용사정 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게 되면서 각국은 경제성장의 중심지표를 GDP로 바꾸기 시작했다. GDP는 소유자에 관계없이 '국내에 있는' 노동 자본 등 모든 생산요소를 결합해 만들어낸 최종 생산물의 합이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경제가 성장해야 일자리도 많아지고 국민소득도 늘어나기 때문에 경제성장률은 높을수록 좋다고 믿기 쉽다. 하지만 한 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인적·물적자원을 투입, 인플레이션 걱정없이 달성 가능한 성장률(잠재성장률)을 넘어 너무 빠른 속도로 경제가 성장한다면 장기적으로 국민경제에 오히려 부담이 될 수도 있다. 선진국들은 1970년대 높은 인플레이션을 겪으면서 물가안정이 고도성장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무조건 높은 성장을 추구하기보다는 잠재성장력에 가까운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한 경제정책을 운영해 오고 있다. 한국도 1994∼1995년 기간동안 9%에 육박하는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처럼 높은 경제성장의 이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기업들의 과다한 투자활동과 무리한 외형확장 경쟁이 내포돼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1997년말 나타난 외환위기는 이같은 고도성장의 경제구조에 거품이 생기고 전반적인 국가경쟁력 약화가 지속되면서 경험한 사건이라 할 수 있다. 경제학자들은 경제성장이 한 두 해로 그치는게 아니라고 강조한다. 경제성장은 영원히 지속돼야 하므로 보다 장기적 안목에서 적정수준을 유지하는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한다. 마라톤경기에서 처음부터 무리하게 전력질주하면 막판에는 힘이 부쳐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는 것과 같은 이치. 경제성장도 여러 변수를 감안해 그 속도의 완급을 조절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특히 중요한 것은 성장의 '속도'뿐만 아니라 그 '내용'이다. 경제성장이 국민들을 행복하게 하지 않고 오히려 경제를 불안하게 한다면 무의미할 수도 있다. 성장의 과실이 전 국민에게 골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적절한 복지정책이 필요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와 함께 불가피하게 찾아오기 마련인 경제침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적정 수준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유영석 기자 yooys@hankyung.com ----------------------------------------------------------------- < 정답 >【1】㉰【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