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경제부가 카드사들의 대손충당금 설정기준을 오는 2분기중 은행 수준으로 높이기로 한데 대해 카드사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카드업계의 한 관계자는 "신용대출을 전문으로 하는 카드업의 특성을 감안하면 현재 카드사들의 연체율은 시중은행에 비해 결코 높은 수준이 아니다"라며 "재경부가 우려할 만큼 카드사의 자산 건전성이 나쁘지 않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삼성, LG, 국민, 외환카드사의 연체율(1개월 이자연체액 기준)은 0.65∼3.77% 정도로 일부 카드사의 경우는 국민 조흥 외환 한미은행 등 시중은행의 연체율(0.67∼1.64%)보다 오히려 낮다. 최근 카드대출서비스(현금서비스+카드론) 규모가 커지면서 연체율이 높아지고 이는 곧 카드사의 부실로 연결될 우려가 크다는 정부의 논리를 납득할 수 없다는게 카드업계 주장이다. 이제까지 카드사들은 연체기간에 따라 각각 다른 비율의 대손충당금을 적립해 왔다. 반면 은행들은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을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의 5단계로 구분, 채권회수 가능성에 따라 카드사보다 넉넉하게 대손충당금을 쌓아 왔다.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기준이 카드사에 적용되면 카드사들은 현재보다 더 많은 대손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 예컨대 이제까지 카드사들은 12∼24개월 연체액에 대해선 연체금의 45%만 충당금으로 적립하면 됐으나 앞으로는 연체액의 1백%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충당금 적립액이 커질수록 카드사들의 순이익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카드사들은 그러나 설령 대손충당금을 늘려 쌓아야 하더라도 '별 문제 없다'는 반응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정부가 요구하는 충당금 최저 적립액인 9천5백98억원(적립비율 1백%)보다 1조2천5백53억원이나 많은 2조2천1백51억원(2백30.8%, 9월기준)의 대손충당금을 쌓는 등 비교적 여유있게 자금을 비축해 뒀기 때문이다. 특히 삼성.LG카드의 충당금적립비율은 각각 6백95.7%, 5백49.1%에 달한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매분기 사상 최고의 순이익을 올리고 있는 카드사로선 늘어나는 대손충당금을 감당할 자금 여력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최철규 기자 gr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