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7년 창립된 현대자동차노조가 민주노총과 현대그룹노조총연합(현총련)의 핵심세력으로 국내 노동운동을 주도하는 과정에서 사내 현장을 중심으로 많은 노동조직들이 생겨났다. 이들은 단일사업장으로 국내 최대 규모인 노동조합(현 조합원 3만8천여명) 집행부가 되기 위해 저마다 선명성을 부각시키면서 임단협 때마다 현장 조합원들의 분위기를 이끌어왔다. 지금의 현장조직은 민주노동자투쟁연대(민노투), 노동자연대투쟁위원회(노연투),민주노동자투쟁위원회(민투위), 자주노동자회(자주회), 전진하는 노동자회(전진회),현자노동자투쟁위원회(현노투), 현자실천노동자회(실노회) 등이다. 실제 조직을 움직이는 활동가는 각각 수 십명에서 수 백명까지이며 올해 임단협에서 복직에 합의한 해고자 이모, 김모, 배모씨 등 소위 강성노조원들이 모두 핵심인물이다. 조직마다 노조대의원들을 확보하고 있어 임단협때마다 노조집행부의 협상에 제동을 걸며 때로는 위원장을 허수아비로 만들고 심각한 노노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들 조직은 지난 98년 정리해고사태와 몇차례의 임단협 무분규 타결로 기반이약화되는 듯했으나 올해 하반기 새노조집행부 선거를 전후해 활동을 강화하며 세규합을 꾀하고 있다. 올해 잠정합의안 부결에 앞장선 것은 현집행부 세력이라 할 수 있는 민노투를제외한 나머지 조직들이다. 이들은 잠정합의 이튿날인 지난 18일 의장단 모임을 갖고 "합의안이 현장 조합원들의 요구에 훨씬 못미친다"며 부결시키기로 의견을 모으고 '헐값흥정 웬말이냐'는 유인물을 내는 등 조합원들을 부추겼다. 올해도 현장조직의 힘을 유감없이 발휘하긴 했지만 노노갈등이 결국은 회사의매출손실과 국가경제에 타격을 주기때문에 현장조직들이 건전한 활동방향을 모색해야한다는 지적이 많다. (울산=연합뉴스) 서진발기자 sjb@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