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공무원들의 육아휴직이 최근 3년간 급증한것으로 조사됐다. 17일 행정자치부가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63곳을 대상으로 조사, 공개한`2001년 공무원 육아 및 출산휴가와 직장보육시설 운영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기간인 지난해 10월1일부터 올해 9월30일까지 1년간 육아휴직 이용자는 전체 이용대상자 2만7천278명중 5.2%인 1천410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육아휴직을 이용한 남성공무원은 모두 75명으로 지난 99년 25명에서 지난해 50명 등으로 최근 3년간 3배나 증가했다. 이는 여성 공무원이 지난 99년 578명에서 지난해 894명, 올해 1천335명 등으로같은 기간 2.3배 증가한 수치를 넘어선 것이다. 또 육아휴직 대상 남성중 육아휴직 이용률도 지난 99년에는 0.06%에 불과했으나지난해 0.2%, 올해 0.3%로 3년간 무려 5배나 증가했다. 여성공무원은 비율상으로는 지난 99년 2.04%에서 지난해 3.6%, 올해 4.9%로 2.5배 많아졌다. 김혜순 행자부 여성정책담당관은 "그동안 무급 육아휴직으로 인한 가계부담과업무공백 발생에 따른 대체인력 미확보 등으로 육아휴직 이용률이 매주 저조했다"며"올해 시행된 유급 육아휴직제의 시행으로 육아휴직의 이용률은 늘 것으로 예상되지만 인사와 재정적인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산휴가 이용자는 전체 여성공무원 9만1천954명중 9.2%인 8천464명이었으며 이들중 4.2%는 법정 휴가일수인 60일을 모두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올해 시행된 출산휴가 90일 제도로 휴가기간이 길어지면서 법정휴가기간을 못채우는 여성공무원의 숫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행자부는 지적했다. 직장보육시설은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47곳중 30곳이 설치돼 있고 4곳은 설치중이었으며 지방자치단체는 16개 시.도중 9곳만 설치, 여성공무원들이 업무와 육아를병행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자부는 육아 및 출산휴가의 이용을 늘리기 위해서는 퇴직공무원으로 인력풀을구성, 업무공백을 보완하고 예산편성시 육아 및 출산휴가를 위한 대체인력 확보에우선적으로 예산을 편성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직장보육시설 설치를 적극 권장할 수 있도록 영유아보육법상의 기준을 강화하고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벌칙을 부과해야 한다고 행자부는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 기자 daeho@yna.co.kr